승무원의 대처 중에서도, 대피 과정이 적절했는지에 대한 논란도 남아있습니다.
기내에 연기가 가득차 너도나도 대피하려던 다급한 상황에서 승무원이 아닌 탑승객들이 직접 비상구를 열고 탈출했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기 때문인데요.
전문가들은 적절치 못한 대피라고 말합니다.
자세한 내용, 강서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기자 】
비상구 사이로 펼쳐진 비상용 미끄럼틀을 타고 승객들이 대피하는 모습입니다.
모두가 앞다퉈 대피하려던 다급한 상항에서 비상구를 연 건 승무원이 아닌 승객이었다는 정황이 나오고 있습니다.
▶ 인터뷰 : 항공기 탑승 승객
- "(조치는 어땠습니까? 승무원들) 안에 승객들이 다 문 열었어요."
비상구가 열린 시점도 제각각이었다는 증언도 나옵니다.
▶ 인터뷰 : 항공기 탑승 승객
- "꼬리쪽 승객이, 게이트에 앉아 계신 나이 많으신 분이 열고 그쪽 꼬리문은 탈출한 것으로 알고 있고. 저희는 앞열은, 게이트가 개방이 돼가지고 그렇게 탈출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승객이 임의로 비상구를 열고 대피하는 건 피해를 더 키울 수 있는 위험천만한 행위라고 말합니다.
상황을 잘 모르는 승객이 비상구를 열었다 비상용 미끄럼틀이 찢어지거나, 공기가 유입돼 화재가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엔진이 켜진 상태였다면, 승객이 대피 도중 엔진에 빨려 들어가거나 날아갈 수도 있습니다.
▶ 인터뷰(☎) : 정윤식 / 가톨릭관동대 항공운항학과장
- "기장은 (상황을) 파악하고 나서 비상 탈출 시에 하는 절차가 굉장히 깁니다. 기다리는 승객 입장에서는 아무런 조치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논란이 이어지자 에어부산은 "비상구 앞 승객은 비상구 개폐 방법을 안내받고, 직접 비상구를 조작하고 탈출할 수 있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내놨습니다.
MBN뉴스 강서영입니다.
[kang.seoyoung@mbn.co.kr]
영상취재 : 안동균 기자
영상편집 : 김민지
화면출처 : 인스타 스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