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 / 사진=CCTV |
인공지능(AI) 선두 주자 엔비디아의 시가총액 880조 원을 증발시킨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
저비용·고성능 AI 모델을 선보여 미국 프리미엄 아성을 무너뜨렸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딥시크를 만든 량원펑에게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량원펑은 1985년생으로 중국 광둥성 출신입니다. 공학 분야에서 특히 손꼽히는 명문대인 저장대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했습니다.
대학을 졸업한 그는 청두의 저렴한 아파트를 구해 금융에 AI를 적용할 수 있는지 연구했습니다. 그러다 2015년 대학 친구 2명과 함께 퀀트(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한 투자 기법)를 사용한 ‘하이-플라이어’(High-Flyer)라는 헤지펀드를 설립했습니다.
딥시크의 투자자이자 모회사가 되는 하이-플라이어의 운용 자산은 한때 100억 위안, 우리돈 1조 9,897억 원을 넘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량원펑은 미국 정부가 중국에 AI칩 규제를 부과하기 전인 2019년부터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약 1만개를 확보했습니다. 이때만 해도 주변 지인들은 새로운 취미를 찾는 억만장자의 기인한 행동으로 취급했습니다. 그러나 이를 통해 거대언어모델(LLM)을 훈련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고, 하이-플라이어를 통해 투자를 진행했습니다.
량원펑의 한 사업 파트너는 외신 파이낸셜타임스(FT)에 “그는 형편없는 머리 스타일을 하고 1만개 칩으로 클러스터를 만들어 자신의 AI 모델을 훈련시키겠다고 말하던 공붓벌레 같은 사람이었다”며 “우린 그걸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다 2023년, 량원펑은 첫 번째 오픈소스 AI 모델 ‘딥시크 코더’를 공개했습니다. 지난해(2024년) 5월에는 한층 더 진전된 ‘딥시크-V2’를 출시했습니다. 이 모델은 강력한 성능과 저렴한 비용으로 크게 주목받으며 중국 내 AI 모델 시장에 가격 전쟁을 촉발했습니다.
다음에 내놓은 딥시크-V3과 딥시크-R1은 이 회사의 이름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됐습니다. 그는 해당 모델이 미국의 주요 AI 모델보다 성능이 더 낫거나 비슷한 수준이라고 자신했습니다.
더욱이 이 회사는 그동안 미국 주요 기업들이 AI 모델 개발에 들인 비용보다 훨씬 적은 돈으로 자사의 모델을 만들었다고 밝혀 세계를 놀라게 했습니다.
회사 측은 딥시크-V3 개발에 들인 비용이 557만 6,000달러(약 78억 8,000만 원)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메타가 최신 AI 모델인 라마(Llama) 3 모델을 엔비디아의 고가 칩 ‘H100’으로 훈련한 비용 대비 10분의 1 수준입니다.
다만 딥시크가 밝힌 금액은 엔비디아의 저렴한 칩인 ‘H800 GPU’를 시간당 2달러에 2개월 동안 빌린 비용을 계산한 것으로, 인건비와 운영비 등은 포함되지 않은 금액이어서 전체 비용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 해도 업계에서는 이 회사가 훨씬 저렴한 자원으로 뛰어난 성능의 모델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AI 개발 가도에 일대 혁신을 일으킨 것으로 평가합니다.
한편, 량원펑은 지난해 7월 중국학술원 웹사이트에 공개된 인터뷰에서 “우리의 목표는 당장 수익을 내는 게 아니라 기술의 최전선을 확장해 생태계 성장을 이끄는 것”이라며 “혁신을 위해선 많은 돈이 필요하지만, 우리에게 부족한
또 “우리의 진정한 해자는 팀의 성장 축적 노하우와 혁신적인 문화 조성에 있다”며 “오픈소스는 단순히 상업적인 게 아니다. 문화적인 것이다. 돌려주는 것은 영광이며 재능있는 인재를 끌어모으는 유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김지영 디지털뉴스 기자 jzero@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