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돋보기 시간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 사망 소식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최근 북한이 이들 사망자를 처리하기 위해 법까지 바꾸는 지경에 이렀다는 얘기가 들리고 있는데요.
외교안보팀 강재묵 기자 나와 있습니다.
【 질문1 】
강 기자, 먼저 북한군 피해 상황부터 간략히 정리해주시죠.
【 답변 】
앞서 우리 국정원이 북한군 최소 100여명이 숨지고 부상자는 1천여 명에 달한다고 밝힌 바 있죠.
미 국방부 역시도 현지 시간으로 어제(19일), 북한군 사상자가 수백 명에 달한다고 공식 확인했습니다.
▶ 인터뷰 : 패트릭 라이더 / 미국 국방부 대변인
- "수백 명의 북한군이 전사한 것부터 부상당하기까지 다양한 피해를 입었다는 것이 우리의 평가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질문2 】
북한 내부 민심에 동요가 있을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파병 군인들 가족이 있을텐데요.
【 답변 】
내부 주민과 군인들에게 분명히 동요가 있던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군인들의 경우 본인이 추가 파병되지는 않을까 우려 중인 것으로 전해지는데요.
이 때문인지 군 간부를 중심으로 특히 사상 교육을 강화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역설적으로 최고 지도부가 군 내부의 충성심 저하를 얼마나 우려하는지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질문3 】
이들 전사자마저 내부 선전에 활용될 것이란 얘기가 있던데, 이건 무슨 내용인가요.
【 답변 】
최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입니다.
북한은 통상 다른 국가들과 달리 사망자 한 명 한 명에 대한 유해를 따로 처리하지 않곤 해왔는데요.
일종의 공동묘지가 러시아 현지에 조성되고, 대다수가 그곳에 안치될 전망입니다.
이 때문에 시신조차 보지 못하는 가족들을 달래기 위해, 이들을 영웅화하는 과정이 병행될 것이란 설명입니다.
▶ 인터뷰(☎) : 박원곤 /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사망자가) 계속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체제 내부에 상당 수준 도전적 요소가 될 수 있거든요. 이들의 희생이 결코 헛된 것이 아니라 영웅적 죽음이다라고 포장을…."
이중 일부의 유해는 북한으로 송환돼 '국가장'으로 장례가 치러지며, 사망 이후까지도 조선노동당의 '혁명의 상징'으로 활용될 것이란 분석입니다.
【 질문4 】
또 사망 군인들을 처리하기 위해 장례법까지 수정했다고요.
【 답변 】
북한은 최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를 통해 지난해 3월 채택한 장의법을 수정·보충했습니다.
수정된 내용 전문이 공개되진 않았지만, 시기적으로 봤을 때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과 맞물려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해석입니다.
▶ 인터뷰(☎) : 조한범 /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지금 상황은) 일반적인 장례 절차와는 다르거든요. 그런 상황에 따른 장례 절차, 보상 절차 이런 것들이 법 제정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죠."
즉 북한군의 '복무 중 사망'은 일반 사망과 구분되는 만큼, 현지에서 치러지는 장례 절차나 유족에게 전해질 사망통지서 등 관련해 사전 조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입니다.
【 앵커 】
파병은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파병에 따른 조치들은 곳곳에서 드러나는 듯한 모습입니다. 지금까지 강재묵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