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병 북한군 전력 탐색 위해 현지 모니터링단 파견도 검토
↑ 북한 우크라전 파병 뉴스 흘러나오는 서울역/사진=연합뉴스 |
정부가 북한의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파병에 대응해 우크라이나에 단계적 지원을 한다는 방침을 세우면서 어떤 무기체계가 고려될 수 있을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오늘(22일) "앞으로 단계별 시나리오를 보면서 방어용 무기 지원도 고려할 수 있고, 그 한도가 지나치다 싶으면 마지막에 공격용(무기)까지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방어용 무기를 지원 대상으로 우선 고려하겠지만, 사태 추이에 따라 공격용 무기까지 지원 리스트에 오를 수 있다고 경고한 것입니다.
정부는 지금까지 우크라이나에 인도적 차원의 군수 물자를 제공했고 미국에 155㎜ 포탄을 수출하는 방식으로 미국의 우크라이나 지원을 간접적으로 돕는 형태였지만, 북한의 파병이라는 급변 상황으로 방침이 달라진 것입니다.
방어용 무기로는 우크라이나에 요긴할 방공 자산에 해당하는 지대공 유도무기 천궁이 지원 가능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한국의 방공 체계 지원을 희망한다고 전해졌습니다.
천궁은 주로 전투기를 요격하는 '천궁-Ⅰ'과 탄도미사일도 요격할 수 있는 '천궁-Ⅱ'가 있습니다. 천궁-Ⅱ는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 등도 도입을 결정해 물량이 부족한 까닭에 방공체계 지원이 결정된다면 천궁-Ⅰ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공격용 무기로는 155㎜ 포탄이 유력한 지원 대상으로 꼽힙니다. 소모전 양상으로 전개되는 전황 특성상 포병 전력이 우크라이나에 절실하며, 155㎜ 포탄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국가 무기체계와도 호환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제공 방식은 미국 수출 등 우회적 경로가 될 가능성이 크지만, 러시아와 북한의 결탁이 더욱 노골화한다면 우크라이나로의 직접 지원도 그려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155㎜ 포탄을 사용하는 국산 K9 자주포가 우크라이나로 건너갈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K9과 함께 한국 재래식 무기체계의 대표 주자인 K2 전차 또한 우크라이나에 필요한 무기입니다.
단순 지상전 차원을 넘어서는 무기들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전술지대지유도무기(KTSSM)는 개발이 마무리돼 올해 말부터 전력화 착수가 예정됐습니다.
'우레'라는 제식 명칭이 붙은 KTSSM은 지하 갱도 진지 파괴 목적으로 국내 개발돼 지하 수m를 관통할 수 있고 사거리 180여㎞에 원형공산오차(CEP) 5m 안팎의 정밀도를 자랑합니다.
국산 다연장 로켓(MLRS) 천무는 239㎜ 유도탄, 227㎜ 무유도탄, 130㎜ 무유도탄을 발사할 수 있습니다. 227㎜ 무유도탄의 경우 1기에 자탄 900여 발을 탑재해 축구장 3배 면적을 한 번에 타격할 수 있습니다.
↑ 우크라이나 군이 공개한 보급품 받는 북한군 추정 병력/사진=연합뉴스 |
정부는 무기 지원과 별도로 전장에 파병된 북한군 전력을 탐색하기 위해 현지에 모니터링단을 파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북한이 러시아를 위해 파병한 특수부대의 전술과 전투력 등을 모니터링하는 요원을 우크라이나에 파견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군 모니터링단은 적 전술을 연구하는 군인·군무원 등 군사요원으로 구성될 전망입니다. 아울러 전장에 투입된 북한군이 포로로 잡히거나 탈출하게 되면 이들을 신문할 수 있는 요원도 모니터링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로 정보사령부 등 정보 분야에서 북한 관련 업무에 종사해온 인원들이 우선 고려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 방첩사령부와 같이 북한군 인원으로부터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요원, 나아가 북한군 전술·전략을 분석할 작전 분야 인원의 파견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군은 하마스의 기습을 받은 이스라엘에도 모니터링단과 유사한 형태로 이미 소수 인원을 파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들은 하마스의 기습 상황에 대응했던 이스라엘군의 대비 태세와 대처 방안, 하마스가 사용했다고 알려진 북한제 무기들의 특성과 성능 등을 파악하는 데 주력했다고 알려졌습니다.
북한은 우리의
유사시 후방 침투 임무를 수행하는 폭풍군단의 작전 및 전술을 연구하면 우리 군이 방어 전술을 세우는 데 유용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판단입니다.
[김유민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mikoto230622@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