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승 의원 "양적 확대만 하지 말고 기능 못하는 원인 파악해야"
↑ 권역외상센터/사진=연합뉴스 |
중증·응급 최종 치료 담당 기관인 권역외상센터에서 응급 수술이나 처치가 불가해 전원된 '응급실 뺑뺑이' 비율이 5년 만에 6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1일)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전국의 권역외상센터 17곳에서 입원 전 전원된 환자는 총 134명이었습니다.
전원 건을 사유별로 분류한 결과 경증으로 판별됐거나 다른 환자 사정으로 인해 전원된 인원이 74명(55.2%)이었습니다.
그러나 응급 수술·처치가 불가하거나 전문 응급의료가 필요하다는 사유로 전원된 인원도 56명(41.8%)이나 됐습니다.
이 사유로 전원된 비율은 지난해보다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지난해에는 전체 전원 환자 329명 중 20.4%인 67명이 '응급 수술·처치 불가 또는 전문 응급의료 요함'으로 입원 전 전원됐습니다.
이러한 전원 환자 비율은 2019년 7.1→2020년 11.8→2021년 14.3→2022년 21.5%로 2019년에 비교하면 올해 상반기 약 6배 증가했습니다.
권역외상센터는 지역 응급실에서의 처치 범위를 넘어서는 중증외상 환자의 치료를 위해 지정·운영되는 '최종 외상 치료기관'인데 이곳에서도 치료가 불가해 전원되는 비율이 10명 중 4명에 달하는 것입니다.
↑ 연도별 권역외상센터 전원 사유 현황/사진=박희승 의원실 |
센터별로 보면 아주대(1명), 원광대(2명), 의정부성모(1명), 충북대병원(8명)에서 전원된 인원은 모두 '응급 수술·처치 불가 또는 전문 응급의료 요함' 사유로 이송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립중앙의료원은 전원 환자 12명 중 11명(91.7%)이, 가천대길병원은 6명 중 5명이(83.3%), 목포한국병원은 10명 중 5명이(50.0%) 이러한 사유였습니다.
한편 올해 8월 기준 권역외상센터의 전담 전문의 충원 비율은 평균
박희승 의원은 "정부가 권역외상센터를 늘리고 있지만 이 중 상당수가 응급 수술·처치를 못 해 환자를 전원시키고 있는 점은 큰 문제"라며 "양적 확대만 할 것이 아니라 권역외상센터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실태를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유민 디지털뉴스부 인턴 기자 mikoto230622@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