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룡사지와 분황사 찾아 나서는 새벽
경주는 일 년에 서너 번은 찾는다. 찾을 때마다 같은 패턴으로 여행을 하지만 지겹거나 싫증이 나지는 않는다. 경주에 대한 느낌을 말하자면 ‘좋다, 그냥 좋다.’ 텅 빈 황룡사지와 안개 가득한 분황사의 모전탑이 떠오르고 보고 싶어 새벽녘 먼 길을 나설 때도 있다.
↑ 동궁과 월지에서 맞은 저녁 |
경주에서는 주로 걷는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때로는 뒷짐을 지고 때로는 우두커니 서 있기도 하며 느린 걸음으로 걷는다. 걸어서 저녁 무렵에는 황룡사지를 찾고, 아침이면 대릉원을 찾는다. 황룡사지를 어슬렁거리며 무너진 석탑과 절이 있던 자리와 부처가 앉았던 자리, 무심히 서 있는 당간지주 등을 바라보고 천천히 쓰다듬다 보면 천년 왕국의 비밀이 손끝을 타고 전해지는 것 같다.
절터는 넓다. 동서 288m, 남북 281m. 이 자리에 구리 3만 근과 황금 1만 198푼이 들어간 본존불 금동장륙상이 있었고 9층 목탑이 있었다. 에밀레종보다도 규모가 4배 더 나간다는 황룡사종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없다. 몽골군의 침입으로 모조리 불타버렸다. 본존불을 모시는 금당터에는 불상을 올려놓는 커다란 석조대좌가 남아 있다.
↑ 신라 최대의 사찰 황룡사가 있던 황룡사지 |
그 돌들 앞에 서서 황룡사지에 천천히 깃드는 어둠을 보고 있노라면 마음이 고요해진다. 그러면서 우리네 삶은 곧 저러한 모습으로 외로워지겠구나 하는 생각에 젖기도 하고, 그러니까 착하게 살아야겠구나 하며 약간은 유치한 다짐 같은 것도 해본다.
↑ 경주의 상징 첨성대 |
옛사람들의 흔적 사이에서 지금 사람이 산다
경주는 세계 최고의 고분 도시다. 죽은 왕들의 무덤 사이를 살아 있는 사람들이 산책한다. 노서·노동동 고분군을 비롯해 대릉원이며 황오리 고분군, 황남리 고분군, 내물왕릉, 오릉 등 무덤들 사이에 도시가 들어앉아 있는 형국이다. 경주 사람들은 무덤들 사이에서 아침을 맞고 산책을 하고 술을 마시고 사랑을 한다. 그런데 그 모습을 상상해 보면 전혀 기괴하지 않다. 죽음 역시 우리네 무덤덤한 일상의 한 부분이니까.
↑ 황룡사지 앞 분황사. 분황사 탑을 돌고 있는 경주 사람들. |
대릉원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능이 미추왕릉이고, 미추왕릉을 지나면 황남대총이 나온다. 대릉원에서도 가장 큰 고분이다. 표주박을 엎어놓은 것처럼 생겼다. 북쪽보다 남쪽 봉분이 더 크다. 그래서 봉분이 높은 남분은 왕이, 북분에는 왕비가 묻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주인이 누구인지는 아직까지 미스터리다. 누구의 무덤인지 특정할 수 있는 부장품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 교동마을을 찾아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아이들 |
황리단길을 건너면 첨성대고, 첨성대를 지나면 계림이 나오고 곧 월성에 닿는다. 월성은 신라의 궁궐이 있던 자리인데, 이곳에 오르면 대릉원과 황오동 등 경주 시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눈에 보이는 곳이 신라가 천 년 동안 번성했던 자리다.
↑ (위로부터)걷기 좋은 대릉원 산책길, 최부잣집이 있는 교동마을, 옛것과 새것이 잘 어우러진 황리단길 |
나는 날 저물 때 다 되어서 노서· 노동리 고분군 앞에 서는 것을 좋아한다. 첨성대를 등지고 계림으로 가는 길, 내가 항상 서 있는 자리가 있다. 이곳에서 바라보면 능 뒤로 지는 노을과 황오동 집들의 기와지붕이 어울려 신비로운 풍경을 펼쳐 보인다.
능의 곡선은 또 얼마나 유려하고 아름다운지. 무덤들이 예쁘다면 좀 우습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해가 능 뒤로 슬금슬금 넘어갈 때쯤이면 능 주변으로 하나둘씩 불이 들어오는데, 느긋한 능의 곡선과 어우러져 절묘한 풍경을 그려낸다. 게다가 뒤편 선도산의 곡선까지 어우러져 만들어 내는 깊고 그윽한 한 장면은 사진 찍는 이의 밝은 눈이 아닌 무지렁이 여행객도 감탄하게 만든다.
↑ 대릉원의 봉곳한 고분 |
나는 지금 월지에 비치는 동궁을 바라본다. 밤이 와서 어둠이 짙고 그만큼 별이 밝다. 조명을 받은 동궁의 처마가 환하다. 신라 천 년의 밤은 얼마나 화려했을까 하고 상상해 보지만, 그것은 아무 소용이 없는 일이다. 소설가 강석경은 경주에 머무르면서 만든 책 『이 고도를 사랑한다』(난다)에서 “허무를 알면서 우리는 성년이 된다”라고 썼다.
↑ 해국길의 좁은 골목 |
↑ (좌)감포 앞바다 해변에서 말라가는 오징어, (우)감은사 탑의 새벽 |
해국길 건너편 감포항에서 북쪽으로 10여 분 올라가면 송대말등대가 있다. 송대말은 ‘소나무가 우거진 대의 끝부분’이라는 뜻. 이름처럼 절벽 끝에 용틀임 하듯 휜 소나무들이 있고, 그 사이로 푸른 동해가 흰 파도를 일으키며 넘실댄다. 송대말등대에서 나와 경주 문무대왕릉과 감은사 탑을 보고, 불국사를 보고 돌아오는 코스를 잡으면 된다.
↑ 문무대왕릉의 감동 어린 아침 풍경 |
예를 들자면, 천년 세월을 이기고 서 있는 석가탑과 다보탑, 봄이면 피는 벚꽃과 상강에 어김없이 내리는 서리 같은 것들 말이다. 그런 것들 앞에 서면 마음이 괜히 뭉클하고 대견스러워할 수 있다면 눈을 한 번 더 맞추고 쓰다듬어 보려고 한다.
↑ 언제 찾아도 좋은 불국사,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석탑이라고 해도 모자람이 없는 다보탑 |
다보탑과 석가탑, 두 탑만으로도 책 한 권을 거뜬히 만들 정도로 이야기가 많다. 10원 동전에도 나오는 다보탑은 우리나라 탑 중에서도 가장 독특하고 아름답다. 돌을 마치 나무처럼 깎아 만들었다. 사각형의 받침돌 옆으로 계단이 놓여 있고 다시 5개의 기둥이 받치고 있다. 그 위에 팔각형, 다시 꼭대기는 원으로 돼 있다. 사각형에서 팔각형, 다시 원하는 변하는 것은 성불의 과정을 보여주는 것. 불교에서 원은 완성을 나타낸다.
다보탑은 건축 당시의 모습과 똑같다고 볼 수는 없다. 사실상 원형을 알 수 없다.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인들이 탑을 해체했다 복원했는데 돌들이 남았다고 한다. 부속품이 남았다는 것은 뭔가 잘못 맞췄다는 것이다.
↑ 다보탑에서 바라본 석가탑 |
살다 보면 나이가 하는 일이 있다는 걸 깨닫게 된다. 아름다움을 아는 것, 그 앞을 떠나
[ 글과 사진 최갑수 (여행작가)]
[본 기사는 매일경제 Citylife 제936호(24.07.02)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