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덕상 KDI 거시·금융정책연구부 연구위원(오른쪽)과 한정민 KDI 전문연구원이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KDI 포커스: 여성의 경력단절 우려와 출산율 감소'와 관련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
출산율 하락 원인에 여성의 고용 불이익인 ‘차일드 페널티’가 약 40%가량 영향을 미쳤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조덕상 연구위원·한정민 전문연구원은 자녀가 없는 청년층을 중심으로 지난 2013년~2019년까지의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 ‘KDI 포커스 : 여성의 경력단절 우려와 출산율 감소’를 오늘(16일) 발간했습니다.
연구진은 출산에 따른 여성의 고용상 불이익을 의미하는 ‘차일드 페널티’(child penalty)란 개념을 차용했습니다.
이들은 2013∼2019년 출산율 하락 원인에 차일드 페널티가 40%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했으며, 모형별로 30∼34세일 때 45.6%, 25∼34세 39.6%, 25∼39세 46.2% 등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 사진=KDI 제공 |
연구진이 지난해 기준 30대 여성의 경력단절 확률을 분석한 결과, 무자녀 여성의 경력단절 확률은 2014년 33%에서 지난해 9%로 급감했습니다. 반면 자녀가 있는 여성의 경우 같은 기간 경력단절 확률이 28%에서 24%로 4%포인트 줄어드는 데 그쳤습니다.
30대 무자녀 여성이 출산을 포기할 시 2023년 현재 경력단절 확률을 최소 14%포인트 이상 줄일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분석에 따르면, “아직 자녀가 없는 청년세대가 경험하는 성별 고용률 격차의 축소는 역설적으로 자녀 유무에 따른 경력단절 확률 격차의 확대로 이어져 출산을 미루거나
조 연구위원은 “유연하고 다양한 근로제도, 단축근무·재택근무 등을 활용해 장기적인 시각으로 유자녀 여성의 경력단절 확률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지영 디지털뉴스 기자 jzero@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