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 사진 = MBN |
올해 전세 갱신 계약에서 10건 중 4건은 보증금을 낮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전셋값이 고점이었던 2021년에 신규계약한 전세 만기가 2년이 지나며 종전 대비 보증금을 낮춘 재계약 비중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풀이됩니다.
↑ 아파트 전세 재계약 증·감액별 비중 표 / 사진 = 부동산R114 |
오늘(16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통해 전국 아파트의 갱신 전세보증금을 종전 보증금과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전세 갱신 계약 10만 8794건 중 41%(4만 4530건)는 보증금을 낮췄습니다.
지난해 해당 비율이 연간 4%였던 것을 고려하면 10배 수준으로 비중이 커졌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의 감액 갱신 비중이 44%로 집계돼 지방(34%)보다 수치가 높았습니다. 이는 지방보다 수도권 아파트의 전셋값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하락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됩니다.
부동산R114 통계 기준으로 2021년 말 대비 올해 9월 말 전셋값 변동률은 수도권이 평균 -12.63%, 지방은 -8.21%로 수도권의 낙폭이 더 컸습니다.
↑ 보증금 감액 구간별 전세 갱신계약 비중 / 사진 = 부동산R114 |
보증금을 낮춰 계약을 갱신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동시에 감액 규모 역시 커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올해 전세 보증금을 낮춘 재계약(4만 4530건) 가운데 감액 폭이 5천만 원 이하인 경우는 39.2%입니다. 이는 지난해(48.7%)보다 9%포인트 줄어든 수치입니다.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높은 수도권은 5천만원 초과 1억원 이하로 보증금을 감액한 비중이 35.9%로 가장 컸고, 서울 강남권 대형 면적의 경우 5억원 이상 보증금을 낮춘 사례도 존재했습니다.
지방의 경우 5천만 원 이하로 감액한 경우가 과반이었으나, 세종(77.3%)과 대구(58.9%), 대전(51.7%), 울산(51.3%) 등 대도시에서는 5천만원 넘게 감액한 비중이 더 컸습니다.
이렇듯 전세 감액 사례가 크게 늘어난 이유는 올해 재계약 물량 대부분이 가격 고점이었던 2년 전 체결된 계약이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부
[최혜원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befavoriteone@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