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직접적 연관 없습니다.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명품 가방 수입액이 4년 새 200%가량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9일)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물품 신고 가격이 200만 원을 초과하는 가방 수입액은 2018년에서 지난해 사이 2,211억 원에서 7,918억 원으로 258.1% 증가했습니다.
관세청은 수입 신고에서 명품 가방을 별도 품목으로 분류하지 않습니다. 이에 해당 자료는 과세 대상인 200만 원 초과 가방 수입액을 대신 집계했습니다.
고가 가방 수입액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18년 17%에 그쳤지만 2019년 39%, 2020년 33%, 2021년 45%, 2022년 39% 등으로 크게 뛰었습니다.
연도별 수입액은 2,958억 원(2019년)→3,936억 원(2020년)→5,701억 원(2021년)→7,918억 원(2022년)입니다.
수입 건수는 4년 새 289.4% 증가했습니다. 9,716건(2018년)→1만 5,436건(2019년)→2만 1,349건(2020년)→3만 1,569건(2021년)→3만 7,831건(2022년)으로 늘어났습니다.
200만 원을 초과하는 명품 시계 수입액 역시 같은 기간 약 2배로 늘었습니다.
2018년 5,080억 원에서 2019년 6,247억 원으로 늘었다가 2020년 5,903억 원으로 줄었지만, 2021년과 지난해 각각 6,842억 원, 9,297억 원 등을 기록하며 크게 올랐습니다.
이같은 배경에는 코로나19 기간 해외여행 등이 제약된 상황에서 억눌린 소비 요구와 보상 심리, 축적된 소비 여력 등이 명품 소비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됩니다.
실제로 명품 시장은 코로나19에 따른 소비 침체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지난해 명품 의류 브랜드 ‘메종 마르지엘라’, ‘마르니’ ‘질샌더’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OTB그룹에 이어 올해는 ‘끌로에’(리치몬트그룹) ‘셀린
양 의원은 “고물가와 경기 둔화 상황에서도 고가의 명품 시장 성장세는 지속되고 있다”며 “이런 소비 양극화의 심화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끌어나가도록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김지영 디지털뉴스 기자 jzero@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