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브란스병원도 지원자 ‘0’/사진=세브란스병원 |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성모병원 등 이른바 ‘BIG5 병원’이라 부르는 유명 대학병원들도 죽을 쒔습니다.
하반기 상급년차(2~4년차) 8개 전문 과목 전공의 충원 계획 이야기입니다.
하반기 상급년차 전공의 충원계획이 기피과 전공의 충원을 위한 창구라는 점에서 아쉽다는 목소리가 큽니다.
‘기피과는 역시 기피과’라는 공식이 어김없이 적용되면서 의료계에서는 “정부의 필수의료대책이 실패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 의사/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의료계에 따르면 지난 27일 마무리 된 하반기 상급년차 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등 8개 전문 과목 전공의 충원은 말 그대로 ‘폭망’했습니다.
전체 병원의 총 모집공고 606명 중 현재까지 확인된 지원자는 단 3명 뿐입니다.
특히 서울대병원 등 이른바 빅5 병원으로 불리는 유명 대학병원조차도 지원자들은 철저히 외면했습니다.
서울대병원(정원 4명), 서울아산병원(3명), 세브란스병원(통합·39명), 삼성서울병원(8명), 가톨릭중앙의료원(통합·38명) 중 지원자는 단 ‘한 명’도 없었습니다.
물론 하반기 상급년차 전공의 모집은 수 년 동안 지원이 저조했다는 말도 있습니다.
하지만 의료계에서는 하반기 상급년차 전공의 모집이 기피과 충원 ‘창구’라는 점에서 아쉬움을 나타냅니다.
하반기 상급년차 전공의 모집에는 기피과인 외·산·소 등을 뽑을 뿐, 피부과, 안과, 성형외과 등 진료과목이 포함돼 있지 않습니다.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하반기 상급년차 전공의 모집은 매년 무의미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토로했습니다.
↑ 해당기사와 직접 관련 없는 이미지/사진=연합뉴스 |
기피과 중심으로 전공의가 부족한 현실은 전문의 시험 응시자 감소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계에 따르면, 전문의 시험에 응시한 이들은 2014년 3558명에서 올해 초 2861명까지 줄었습니다.
전문의가 아닌 일반의를 선택하는 의사들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일반의는 2018년 2929개소, 2019년 2943개소, 2020년 3004개소, 2021년 3063개소, 지난해 3165개소 등으로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전문과목과 상관 없는 진료를 하는 의사들도 2018년 5781개소, 2019년 5858개소, 2020년 5937개소, 2021년 6097개소, 지난해 6277개소 등으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의료계에서는 전문의 시험을 포기한 의사들이 ‘메스’ 대신 ‘레이저’를 잡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반의로서 피부·미용 쪽을 보고 있을 것이란 뜻입니다.
이 때문에 정부의 필수의료 대책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비판이 적잖습니다.
임현택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 회장은 “기피과 외면 문제가 가장 클
노환규 전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하반기 상급년차 전공의 모집 지원이 저조한 것은 기피과 현상을 보여주는 한 사례”라며 “소아수가를 올리는 등 일본 사례를 참고해 해결 방안을 도출해야한다”고 말했습니다.
[김누리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nu11iee98@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