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 길어 집으로 돌아가는 아프리카 소년들./사진=연합뉴스 |
이상고온 속 극심한 물 부족에 시달려온 북아프리카 지역이 바닷물은 물론 오·폐수까지 끌어다가 활용하고 있다고 AFP 통신이 현지 시각 오늘(27일) 보도했습니다.
리비아, 튀니지, 알제리, 모로코 등 아프리카 북서부 '마그레브' 지역의 국가들에서는 지난 4년에 걸쳐 가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세계은행(WB)은 2030년까지 중동·북아프리카(MENA) 권역에 걸쳐 1인당 물 공급량이 한계치인 연간 500㎡ 아래로 내려갈 것으로 경고한 바 있습니다.
이에 각국은 저마다 물 정화시설 및 담수화시설을 늘리며 대응하는 모습입니다.
튀니지는 1970년대에 지하수의 염분을 걸러내는 담수화 플랜트를 처음으로 건설했으며, 2018년 최초의 해수 담수화 플랜트를 세운 데 이어 현재 총 16개의 담수화 시설을 운영 중입니다. 이들 담수화 시설이 식수 공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 정도로, 튀니지는 설비를 대거 늘려 2030년까지 물 소비량의 30%를 충족한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튀니지는 폐수 처리공장을 125개나 세워 농업용수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모로코는 현재 12개의 담수화 플랜트에서 농업용수의 25%를 공급 중이며, 7개를 추가로 건설하고 있습니다.
23개 플랜트를 보유한 알제리는 2030년까지 14곳을 추가로 가동해 전체 물 소비량의 60%까지 공급한다는 계획입니다.
리비아는 사하라 사막 남부에 지하수가 풍부한 지층, 즉 대수층과 북부 해안의 인구 밀집 지역을 잇는 대수로를 건설해 물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담수화 플랜트 가동도 병행 중입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런 설비를 가동하기 위해 석유·석탄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
로이터는 "담수화 과정이 에너지를 많이 소비한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북아프리카 국가들은 빠른 인구 증가와 지하수·저수지 고갈로 인한 압력 속에 담수화에 힘을 쏟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김가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imke399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