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주사 공동사용으로 인한 HIV 감염사례 급증
↑ 질병관리청 / 사진=연합뉴스 |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을 일으킬 수 있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이 이성 간보다는 동성 간 성 접촉으로 이뤄지는 사례가 더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기에다 마약을 맞으면서 공동으로 주사기를 쓰다가 HIV에 걸리는 경우도 최근 들어 끊이지 않아 보건당국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오늘(26일) 질병관리청의 '2022년 HIV/AIDS 신고 현황 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HIV/AIDS가 처음 보고된 1985년부터 2022년 말까지 외국인은 제외하고 신고된 누적 내국인 HIV 감염인(사망자 포함)은 1만9천1명이었습니다.
성별로는 남자 1만7천782명(93.6%), 여자 1천219명(6.4%)이었습니다.
이 중에서 사망자를 빼고 2022년 말 기준 생존해 있는 내국인 HIV 감염인은 1만5천880명으로 남자 1만4천882명(93.7%), 여자 998명(6.3%)이었습니다.
생존 내국인 HIV 감염인을 연령별로 보면 ▲ 10∼14세 2명 ▲ 15∼19세 21명(0.1%) ▲ 20∼24세 336명(2.1%) ▲ 25∼29세 1천488명(9.4%) ▲ 30∼34세 2천356명(14.8%) ▲ 35∼39세 1천807명(11.4%) ▲ 40∼44세 1천616명(10.2%) ▲ 45∼49세 1천940명(12.2%) ▲ 50∼54세 1천738명(10.9%) ▲ 55∼59세 1천649명(10.4%) ▲ 60∼64세 1천235명(7.8%) ▲ 65∼69세 851명(5.4%) ▲ 70세 이상 841명(5.3%) 등이었습니다.
HIV에 걸린 내국인 중에서 무응답을 제외하고 역학조사에 응한 감염인을 기준으로 연도별(1985∼2022년) 내국인 HIV 감염경로를 살펴보면, 대부분 성 접촉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특히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85년부터 2018년까지만 해도 동성 간보다는 이성 간 성 접촉으로 HIV에 걸린 경우가 더 많았습니다.
그러나 2019년부터는 동성 간 성 접촉 감염이 이성 간 성 접촉 감염을 추월했습니다.
2022년 신규 감염자 중 동성 간 성 접촉은 348명(59.8%)으로 이성 간 성 접촉 229명(39.3%)보다 많았습니다.
수혈이나 혈액제제로 인한 감염사례는 2005년까지는 드물지 않게 발생했지만, 2006년 이후부터는 한 건도 없었습니다.
↑ 질병관리청 / 사진=연합뉴스 |
마약 주사 공동사용에 의한 감염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마약 주사 경로는 당초 1992년 1건, 2000년 1건, 2008년 1건, 2010년 1건, 2017년 1건 등 드문드문 보고됐을 뿐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2019년 2건, 2020년 2건, 2021년 1건, 2022년 5건 등으로 4년 연속 끊이지 않아 보건당국을 긴장시키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치료제 개발로 에이즈는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만성 감염질환이 되었지만, 에이즈를 퇴치하려면 일상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성 접촉을 피하고, 감염이 의심되면 신속하게 검사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HIV 검사는 병의원과 보건소에서 받을 수 있으며 보건소에서는 익명으로 무료 검사가 가능합니다.
HIV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입니다.
인간 체내에서 생존하고 증식하면서 감염인의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사람에게서 사람에게로 전파됩니다.
HIV에 걸렸다고 모두 에이즈 환자는 아닙니다.
HIV 감염인 중에서 면역체계가 손상, 저하됐거나 감염 중 암 등의 질병이 나타난 사람이 에이즈 환자입니다.
에이즈 환자는 HIV 감염 이후 면역 결핍이 심해져 합병증이 생긴 사람을 말합니다.
HIV 감염인과 같이 있다고 해서 너무 두려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HIV 감염인과 손을 잡거나 함께 운동한다고 해서 HIV에 걸리지 않습니다.
한 그릇에 담긴 음식을 함께 먹어도 HIV에 걸리진 않습니다.
음식에 들어간 HIV는 생존할 수 없으므로 HIV 감염을 일으킬 수 없기 때문입니다.
HIV 감염인을 문 모기나 벌레 등을 통해서는 HIV에 걸리지 않습니다.
일상적 신체접촉으로 교환될 수 있는 체액(땀)에는 극히 소량의 바이러스가 들어 있을 뿐이어서 상대방 몸 안으로 들어간다 해도 HIV 감염을 일으킬 수 없습니다.
HIV는 성관계나 상처, 점막 등을 통해 상대방의 몸속으로 들어가야 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HIV 감염인과 성관계를 가졌다고 해서 모두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1회 성관계로 감염될 확률은 0.1~1% 정도로 낮습니다. 그렇지만, 감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성관계 때는 콘돔을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HIV에 걸리더라도 바로 죽진 않습니다. 아무런 치료를 받지 않아도 면역결핍으로 말미암아 숨질 때까지 10∼12년 정도 걸립니다.
올바른 치료와 건강관리를 한다면
현재 에이즈는 더는 죽는 병이 아닌 만성질환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HIV 감염인들이 복용하는 치료제는 완치제는 아니지만, HIV 증식을 억제, 질병 진행을 지연시키는 약입니다.
꾸준한 약제 복용을 통해 감염인이라도 얼마든지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정다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azeen98@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