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
국내에서 조산·저체중 출생 등 미숙아 비율이 늘고 있지만 제대로 된 통계조차 작성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산율이 역대 최저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미 태어난 미숙아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최은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의 '미숙아 건강통계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출생아는 2011년 47만1천명에서 2021년 26만1천명으로 45%가량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출생아 중 미숙아(조산·저체중) 비율은 조산아는 6.0%에서 9.2%로 1.5배가 됐고, 저체중 비율은 5.2%에서 7.2%로 1.4배가 됐습니다.
조산아는 임신 37주 미만에 출생한 아기를, 저체중 출생아는 배 속에 있었던 기간과 상관 없이 출생 체중이 2.5㎏ 미만인 경우를 뜻합니다.
우리나라의 미숙아 비율 증가는 난임 시술 등으로 인한 다태아 출생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출산아의 급격한 감소에도 불구하고 다태아 출생은 2011년 13만9천명에서 2021년 14만명으로 오히려 소폭 늘었는데, 2021년 다태아 중 조산·저체중 비율은 각각 66.6%, 59.9%에 달합니다.
보고서는 국내 미숙아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직 정확한 통계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통계청의 인구동향조사가 있으나 이는 부모의 출생신고에 기반하는 것이어서 제한이 있고, 모자보건법은 미숙아나 선천성이상아가 출생하면 보건소장에게 의료기관장이 보고하도록 했으나 누락이 많아 정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외에도 국민건강보험공단,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국립중앙의료원 등에서도 미숙아 관련 통계를 산출하고 있으나 의료 이용이나 의료비 지원사업 자료를 토대로 한 것이어서 전체 통계로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또 2021년부터 미숙아 출산율이 높은 난임시술 대상자에 대해 미숙아 현
최 연구위원은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영아사망률은 감소하고 있으나 저체중아 출생 비율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출생 시 건강 취약성으로 인한 의료지원 수요를 조기에 파악하고 정책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보건통계지표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