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진도와 관련해 충분한 자료가 있어야 하죠.
행정안전부가 전국 840곳이 넘는 곳에 지진 가속도 계측기를 설치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지진 관련 주무기관인 기상청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최돈희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 기자 】
지진 가속도 계측기입니다.
진동을 측정해 지진이 났을 때 건물의 피해 정도와 위험도를 분석합니다.
측정 정보는 실시간으로 행정안전부로 전달돼 시설물의 안전성 평가에 활용됩니다.
▶ 스탠딩 : 최돈희 / 기자
- "이 같은 지진 가속도 계측기는 지난 2010년부터 최근까지 공공기관은 물론, 공항과 교량 등 전국 주요 시설 840여 곳에 설치돼 있습니다."
그런데 그동안 내진 보강 사례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정작 지진 관련 주무기관인 기상청은 측정 정보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측정 방식이 다른데다, 가스 생산기지 같은 일부 시설의 관측 정보는 공유조차 안 됩니다.
저장 범위도 아쉽습니다.
지진의 진도 관련 정보를 얻고 분석하려면 측정 정보가 쌓이는 게 가장 중요하지만, 행안부는 지진이 발생한 경우만 저장합니다.
또 측정 정보도 시설 보안 등의 이유로 민간에 공개하지 않습니다.
실시간 측정 정보를 모두 저장하고,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는 기상청과 대조적입니다.
▶ 인터뷰(☎) : 홍태경 / 연세대 지구환경시스템학과 교수
- "지진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내진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다양한 목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자료가 공개되는 것이 필요하고요."
이에 대해 행안부는 적용되는 법도, 설치 목적도 다르다면서, 정보 공유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9년부터 기상청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지진 가속도 계측기 설치에, 일반 건물은 보통 7~8천만 원, 댐 같은 특수 시설엔 2억 원 정도의 예산이 투입됩니다.
MBN 뉴스 최돈희입니다.
[choi.conhee@mbn.co.kr]
영상취재 : 김현우 기자
영상편집 : 김민지
그래픽 : 박경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