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동 거리를 찾은 관광객 / 사진 = 연합뉴스 |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으면서 한동안 영업을 중단했던 명동 노점상들은 지난해 말부터 조금씩 다시 문을 열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명동 상인들은 '연말 특수효과'로 상권이 잠시 살아나다가 다시 침체한 분위기라고 했습니다. 매출은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이들은 "최근 일본과 동남아에서 관광객이 오고 있긴 하지만 '큰손'이 없다"며 "예전처럼 쇼핑하러 오는 게 아니라 길거리 음식만 사 먹는 정도"라며 "상권 회복을 위해서는 외국인 관광객을 제한 없이 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서울 명동에서 안경점을 운영하는 이모(58)씨도 체감하는 경기는 코로나19 유행 때와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매출이 코로나19 이전의 30% 수준도 회복이 안 됐다"며 "매스컴이나 외부에서 보기에는 명동에 사람이 많이 다니는 것 같지만 장사하는 입장에서는 안 그렇다"고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 공실이 늘어난 명동 거리 / 사진 = 연합뉴스 |
명동거리에는 '임대 현수막'이 붙어있거나 리모델링 공사 중인 가게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골목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텅 빈 채로 방치된 가게들이 다섯 곳 중 한 곳꼴 이었습니다.
명동 골목에서 10년 넘게 음식점을 운영해온 이모 씨는 "코로나 전과 비교하면 매출은 20% 수준인데 물건 단가·임금·전기요금·밥값 상승분을 고려하면 마진율은 10∼15%에 불과하다"며 "임대료를 깎아줘도 못 내니까 다들 장사를 그만둔다. (주변에) 다 공실이지 않느냐"고 했습니다.
코로나19로 명동이 '유령 상권'이 되자 일대 건물주들은 상가 임대료를 수십 퍼센트 감면했습니다. 그러나 거리두기 해제 이후 재계약에 맞춰 임대료를 원래 수준으로 올리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상인들 사이에선 임대료를 다시 올리면 명동에 빈 가게만 더욱 늘어날 거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반면 임대인들도 임대료를 깎아주며 장기간 고통을 분담해온 만큼 이제는 다시 올릴 때가 됐다는 입장입니다.
명동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임대인 입장에서는 건물이 놀아도 세금을 계속 내야 하지 않느냐"면서도 "임대료가 원래 수준으로 올라가려면 짧게는 2년, 길게는 5∼7년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관광객에 의존하는 명동 상권의 공실률은 여전히 다른 상권보다 월등히 높습니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명동 상권의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21.5%입니다. 도심(7.6%)과 서울 전체(6.2%)의 3배 수준입니다.
지난해 명동 중대형 상가의 공실률은 43.5%로 역시 도심(18.3%)과 서울 전체 평균(9.1%)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김누리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r50261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