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이충우 기자] |
최근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주최한 '제7차 미래전망 전문가 포럼'에서 하상응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세대 간 정의 관점에서 본 정치 대표성' 발표 자료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현재 한국 정치권에서 중장년층의 과대 대표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제21대 국회의원 중 50대가 전체의 59%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20대는 0.7%, 30대는 3.7% 밖에 되지 않는다. 40대도 12.7%에 그치고 있다. 60대는 23%로 2030 세대와 40대를 합친 것보다도 많다.
하상응 교수는 "고령층 유권자의 비율이 커지면 청년층의 입장이 정책 결정 과정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을 수 있고, 이는 다시 청년층을 대표하는 정치인이 줄어드는 결과로 이어져 세대 간 불평등이 심화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인구 노령화가 심해지고 있어 중장년층의 과대 대표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1980년 3.8%에 불과했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060년 46.4%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위연령도 1980년 21.8세에서 2020년 43.7세로 높아졌다. 2060년에는 61.2세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층 유권자의 비율이 높아지면 청년층 정치인의 정계 진출이 더 힘들어지고, 청년층의 목소리는 더욱 작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보고서는 세대 간 정의를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모든 유권자가 만 18세가 될 때 평생 사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량의 투표권을 받고 이후 선거에서 그만큼만 쓸 수 있는 '투표 총량제'를 제안했다. 유권자는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선거나 열렬한 지지를 보내고 싶은 후보가 출마한 선거에 원하는 만큼 투표권을 사용하는 것이다. 청·장년기에 표를 많이 행사한 유권자는 노년기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표를 쓸 수 있으므로, 노년층의 인구 비
하 교수는 "투표 총량제의 경우 전자투표제도와 같은 새로운 제도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게 될 때 실현 가능성을 따져볼 수 있을 것"이라며 "소규모 집단 등에 적용해 장단점을 미리 확인하는 작업도 요구된다"고 했다.
[고득관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