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 국토부] |
올해 3분기 누계로 전국 지가는 2.69% 올랐으며, 작년 3분기까지 누계(2.88%) 대비 0.19%포인트, 2018년 3분기까지 누계(3.33%) 대비 0.64%포인트 감소했다.
지역별로 전분기 대비 수도권(0.97%→1.10%), 지방(0.48%→0.70%) 모두 상승폭 확대됐다.
수도권에서는 서울(1.25%), 경기(0.97%), 인천(0.86%) 순으로 높았으며, 인천을 제외한 서울·경기는 전국 평균(0.95%)보다 높았다.
지방에서는 세종(4.59%)이 앞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대전(0.98%), 부산(0.92%), 대구(0.91%) 순으로 높았으며, 세종·대전은 전국 평균(0.95%)보다 높았다.
시군구별로는 세종시(4.59%), 경북 군위군(1.81%), 경기 과천시(1.71%), 하남시(1.61%), 성남 수정구(1.53%)가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제주 서귀포시(-0.39), 울산 동구(-0.15), 제주시(-0.14)는 땅값이 하락했다.
용도지역별로는 주거(1.11%), 상업(0.97%), 계획관리(0.80%), 녹지(0.79%), 농림(0.62%), 보전관리(0.57%), 생산관리(0.57%), 공업(0.51%), 자연환경(0.34%) 순으로 상승했다.
이용상황별로는 상업용(1.05%), 주거용(1.03%), 전(0.82%), 답(0.73%), 임야(0.52%), 공장용지(0.50%), 기타(0.45%) 순으로 상승했다.
3분기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87만 9000필지(484.4㎢, 서울 면적의 약 0.8배)로, 2분기(약 80만 5000필지) 대비 9.2%(7만4095필지), 작년 3분기 대비 24.1%(17만915필지) 증가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관망세 등으로 올해 2분기 거래량이 대폭 감소했으나 3분기는 거래량이 다소 회복되면서 전분기 대비 9.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월 최고 거래량을 기록한 이후 정부정책에 따른 수도권 중심의 주거용 부동산 거래 감소 등으로 8월 거래량은 감소세로 전환됐으며 9월 거래량 역시 전월과 유사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27만 필지(436.3㎢)로 전분기 대비 2.3% 감소, 전년 동기 대비 19.2%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 전체 토지 거래량은 세종(143.5%), 울산(56.6%), 대구(55.1%), 서울(35.5%) 등 12개 시·도에서 증가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46.6%), 대구(11.3%), 울산(10.2%), 인천(7.5%), 서울(4.9%) 순으로 증가했고, 10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용도지역별로는 전분기 대비 상업(23.9%), 공업(23.5%), 주거(11.1%), 관리(2.7%)지역 거래량은 증가했고, 농림(△10.0%), 개발제한구역(△6.6%), 자연환경보전(△4.1%), 녹지(△3.0%) 지역의 거래량은 감소했다.
지목별로 전분기 대비 공장용지(30.2%), 대(13.5%), 기타(잡종지 등, 7.3%), 전(1.4%) 거래량은 증가했고, 답(△8.5), 임야(△1.4) 거래량은 감소했다.
건물 용도별로는 전분기 대비 공업용(61.3%), 상업업무용(28.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3분기 토지시장은 정부정책 영향으로 8월 이후 전국 토지 거래량과 지가변동률 상승폭이 둔화되는 추세"라며 "향후 거래량 증가와 토지시장 과열 가능성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이상 현상에 대해서는 적극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미연 기자 enero2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