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정보기술(IT)을 활용해 치매 노인을 돌보는 비대면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기로 했다. 21일 보건복지부는 치매 극복의 날을 맞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기념행사를 열었다.
복지부는 2017년부터 시행된 치매국가책임제 3주년을 맞아 제4차 치매관리 종합계획(2021~2025년)을 만들어 이달 말 발표하기로 했다. 일단 복지부는 코로나19 같은 감염병 상황에 대비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한 양방향 치매예방 프로그램과 카카오톡 채팅방을 활용한 단체 뇌운동 활동 등을 도입할 예정이다. 야외에서도 충분한 거리두기가 가능한 활동(숲체험·텃밭 가꾸기 등)을 통해 전국 치매안심센터 소속 치매 환자와 가족을 도울 계획이다. 복지부는 이달 말 발표할 5개년 계획을 통해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과 치매전문 병동 등도 도입하기로 했다.
올해 제13회 치매 극복의 날 기념 행사에서는 치매에 대한 인식 개선과 검진·치료기술 개발에 기여한 13명이 정부 포상을 받았다. 이 가운데 경증 치매 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자인 정지향 서울 강서구 치매안심센터장이 국민 포장을 받았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는 영상 메시지를 통해 "치매국가책임제가 시행된 뒤 3년간 치매 환자와 가족들의 고통이 조금은 줄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계속 국가와 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관심을 가져 치매라는 높은 벽을 극복해 나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환자들이 언제라도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해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노력하고 있다"며 "나 역시 지난해 치매안심센터에서 교육을 이수하고 '치매파트너' 수료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전국에 256개 치매안심센터가 구축됐으며 이곳에서 치매 환자와 가족들에게 상담·검진 등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지금까지 치매 환자 50만명을 포함한 60세
특히 정부는 지난 2017년 10월부터 건강보험 제도를 개선해 중증 치매 환자의 의료비 부담 비율을 최대 60%에서 10%로 낮췄고 2018년부터 신경인지검사와 자기공명영상검사(MRI) 등 고비용 치매 검사에 건강보험을 적용했다.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