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전세계 대유행 이후 나타난 특징 중 하나는 아시아국가의 사망률이 유럽과 미국에 비해 훨씬 낮다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와 관련, 과학자들이 위생과 방역, 기후, 바이러스 변이, 면역력, 비만율 등 다양한 관점에서 원인을 규명하고 있지만 아직 결론을 내진 못한 상황이라고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P에 따르면 인구 100만명당 코로나19 사망자는 아시아의 경우 중국이 3명, 일본이 7명, 파키스탄이 6명,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5명, 인도가 3명이다. 베트남과 캄보디아, 몽골은 0명에 가깝다. 반면 미국은 100만명당 사망자가 300명에 근접했고, 유럽 국가도 코로나19 피해가 큰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의 경우 500명을 넘어선다. 독일도 약 100명이다.
그렇다면 왜 아시아보다 유럽, 미국 지역에서 사망자가 더 많이 나오는 걸까.
WP는 우선 사회적 통념을 거론했다. 사스, 메르스 사태를 겪은 아시아가 코로나19에 더 빨리 대응한 반면 미국과 유럽은 먼일처럼 생각하며 초기 대응을 주저했다는 것이다. 물론 이같은 주장에 초기 대응이 빨랐다고 할수 없는 일본과 인도는 예외 사항이다.
기후도 이유로 꼽았다. 열과 습도가 바이러스 확산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일부 연구 결과때문이다.
캄보디아, 베트남, 싱가포르가 이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브라질과 에콰도르 등 다른 적도 국가도 유사한 흐름을 보여야 하는데 현재 이들 국가는 사망자가 속출하고 있다. 기후 역시 충분한 설명이 안된다.
바이러스 변이도 예상할 수 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는 바이러스가 동아시아에서 유럽으로 확산하면서 저항력을 극복하기 위해 변이됐을 가능성을 주목했다.
비만 역시 코로
[이상규 기자 boyondal@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