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유정은 교수, 삼성서울병원 신동욱 교수, 숭실대 한경도 교수 등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지난 2005~2012년 국가건강검진을 3회 이상 받은 40세 이상 성인 784만4814명을 대상으로 2016년까지 대상자들의 치매 발생 여부를 추적 관찰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연구팀은 대상자의 이완기 및 수축기 혈압 변동성 정도에 따라 네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치매 위험도를 측정했다. 이를 통해 혈압 변동성이 치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이완기와 수축기 혈압 변동성이 모두 높은 경우 치매 발생위험도가 18%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알츠하이머 치매의 발생위험도는 17%, 혈관성 치매의 발생위험도는 최대 22%까지 늘었다.
이는 혈압 변동성이 크면 뇌혈류의 감소 및 뇌의 허혈성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의 생성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서울대병원 강남센터는 설명했다. 또 혈압변동성으로 인한 혈류역학적 불안정성이 염증과 산화스트레스, 혈관 내피 기능장애 등을 유발함으로써 치매 발병에 관여했다는 것이 연구팀의 분석이다.
세계적으로 약 3500만명의 사람들이 치매를 앓고 있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치매 인구가 2030년에는 두 배 2050년에는 세 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치매의 완치법이 없어 위험 인자를 미리 관리해 예방하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예방 목적에서 관리 가능한 치매 위험 요인을 규명한 이번 연구가 주목을 받는 이유이다.
유정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일반 인구 집단에서 '혈압 변동성과 치매 위험도 증가의 연관성'에 관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했다"며 "고령 등 치매 고위험군의 경우 안정적인 혈압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에서 발간하는 Hypertension 저널 최근호에 게재됐다.
[디지털뉴스국 한경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