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감원의 편법 낙하산 ◆
금융감독원에서 파생결합펀드(DLF) 제재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인물들은 지난달 금감원 인사에 따라 일제히 중요 보직으로 이동했다. 이에 부원장·부원장보 인사를 앞두고 DLF 제재에 관여한 임원급 또한 핵심 보직을 맡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DLF 사태를 사전에 방지했어야 할 인물들이 부실 감독에 대한 책임은 지지 않은 채 핵심 보직으로 옮기는 것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달 금감원이 단행한 부서장급 인사에서는 DLF 판매 은행에 대한 검사를 담당한 이근우 일반은행검사국장이 기획조정국장 발령을 받았다. 역시 DLF와 관련한 업무를 맡았던 서규영 자산운용검사국장도 핵심인 인적자원개발실 국장으로 이동한다. 이들은 지난달 인사에서 발령받았지만 팀원 인사 시행일 전까지는 기존 직책을 유지한다. 실제 발령일자는 이달 말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DLF 관련 업무를 맡았던 간부들이 영전한 것은 이번 DLF 제재에 대한 금감원 내부 시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이에 임원급 인사에서도 DLF 제재 관련 업무를 맡았던 인물들이 영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은행·중소서민금융 담당 부원장 자리에는 제재심의위원회 운영을 담당하는 최성일 전략감독 담당 부원장보의 승진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 부원장보는 금융지주회사에 대한 감독도 담당하고 있다. 세간의 관심이 집중됐던 이번 DLF 제재 과정에서 '보이지 않게' 역할을 해왔다는 전언이다. 최 부원장보가 맡았던 전략감독 담당 부원장보 자리에는 김동성 은행 담당 부원장보가 이동할 것으로 점쳐진다. 표면상으로는 수평적인 이동이지만 직제상으로는 더 우선순위로 꼽히는 자리다. 김 부원장보는 DLF 은행 검사를 진두지휘했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인사를 통해 금감원의 '강성 이미지'가 한층 더 강화될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는다. 특히 DLF 사태에 대한 사전 감독 부실 문제가 제기되는 상황에서 담당 임직원의 '영전'이 적절했는지에 대해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금감원이 DLF 사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기회가 여러 차례 있었음에도 사실상 이를 방치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번 인사로 금감원에서 퇴직하는 인물들의 향후 진로에도 금융권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감원 퇴직자들은 그동안 전직들이 채워왔던 '낙하산' 자리로 향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금감원 출신 퇴직자들이 은행 감사 자리로 옮기면 그 빈자리를 새로운 금감원 퇴직자가 채우게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금융권
[이승훈 기자 / 최승진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