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강원도 삼척항에서 발견된 북한 선박(소형목선)은 함경북도에서 출항했으며 선박에 탄 4명 모두 민간인으로 1차 확인됐다.
19일 군 당국에 따르면 주민 4명을 태운 북한 선박은 지난 9일 함경북도 경성에서 출항해 10일 동해 북방한계선(NLL) 북방 해상에서 오징어 낚기 조업 중인 북한 어선군에 합류했다. 5월 말부터 동해 NLL 근처에서 조업하는 북한 어선 규모가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선박은 11∼12일 NLL 북방 해상에서 위장 조업을 했다. 남쪽으로 귀순 의도를 다른 어선들에 들키지 않도록 바다에 그물을 내렸다 올리기를 반복했다. 북한 주민들은 관계기관 합동심문 과정에서 위장 조업을 했다고 진술했다.
이어 12일 오후 9시께 동해 NLL을 넘은 북한 선박은 13일 오전 6시께 울릉도 동방 30노티컬마일(55㎞) 해상에서 정지했다.
같은 날 오후 8시께 기상 악화로 잠시 표류했지만, 다시 엔진을 켜 최단거리 육지 방향으로 항해를 시작했다.
지난 14일 오후 9시께 삼척항 동방 2∼3노티컬마일(3.7∼5.5㎞)까지 접근한 북한 선박은 엔진을 끈 상태로 대기했다. 야간에 해안으로 접근할 경우 군의 대응 사격 가능성을 우려해 날이 밝길 기다린 것이다. 해상에서 대기하던 북한 선박은 15일 새벽 군의 해안감시레이더에 최초 포착됐다.
그러나 레이더 감시 요원들은 포착된 미세한 표적이 기동하지 않고 멈춰 있자, 파도로 인한 반사파로 착각하고 더는 집중하지 않았다.
이후 북한 선박은 엔진을 가동해 15일 일출 이후 삼척항으로 출발했다. 지금 동해상의 일출은 새벽 5시께부터 시작된다. 선박은 오전 6시 20분 삼척항 방파제 인근 부두 끝부분에 접안했다.
이 선박은 북한 경비정의 감시망을 피하려고 동해 먼바다를 돌아서 왔으며 삼척항에 도착할 때는 준비해온 엔진 연료가 거의 바닥을 드러낸 것으로 전해졌다.
15일 오전 6시 50분께 산책을 나온 주민이 112에 신고를 했다. 신고자는 차림새가 특이한 북한 주민을 발견하고 "어디서 왔느냐?"고 물었고, 북한 주민들은 "북한에서 왔다"고 답했다. 이때 방파제로 올라온 주민 1명은 서 있고, 다른 1명은 앉아 있었다.
특히 방파제에 있던 북한 주민 중 1명은 "서울에 사는 이모와 통화하고 싶다"며 휴대전화를 빌려달라고 요구했다. 그의 이모는 탈북해 서울에 정착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휴대전화를 빌려 달라고 한 주민은 손에 이모의 전화번호가 적힌 쪽지를 들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오전 6시 15분께 삼척항 인근의 해안선 감시용 지능형 영상감시체계에 삼척항으로 들어오는 북한 선박 모습이 1초간 2회 포착됐으나 감시 요원들은 남측 어선으로 판단했다.
군 관계자는 "해양수산청, 해경의 CCTV(폐쇄회로) 영상에도 그 선박의 모습이 식별됐다"고 말했다.
북한 선박이 삼척항 인근에 접근할 때 해상에는 경비함이 있었고 P-3C 초계기가 정상적으로 초계활동을 폈으나 이 선박 탐지에 제한이 있었다고 군 관계자는 설명했다. 삼척항에서 가장 가까운 군 초소는 수 킬로미터 거리에 있다.
북한 주민들은 인민복(1명), 얼룩무늬 전투복(1명), 작업복(2명) 차림이었다.
군 관계자는 "주민 4명은 복장과 관계없이 민간인으로 1차 확인됐다"며 "구체적인 신분은 계속 확인 중"이라고 전했다.
그는 "4명 중 2명은 최초부터 귀순 의도를 갖고 출발했다고 진술했다"면서 "나머지 2명은 본인 의사로 북한으로 송환됐다"고 설명했다.
북한 선박은 선장 동의로 폐기했다고 발표됐으나 현재 동해 1함대에 보관되어 있다고 군은 설명했다. 이 선박은 길이 10m, 폭 2.5m, 무게 1.8t으로 28마력의 엔진을 장착했으며 어구가 실려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건과 관련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이날 국방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2019 전반기 전군 주요지휘관회의'
북한 선박이 군과 해경의 감시망을 뚫고 삼척항 부두에 정박하고, 민간인이 신고할 때까지 몰랐던 군 내부의 문책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