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트레이트 이종명=MBC 제공 |
5.18은 북한군이 개입한 폭동이고, 세월이 지나 민주화 운동으로 변질됐다며, 5.18이 폭동이라는 사실을 밝혀내자는 망언을 한 군 출신의 자유한국당 이종명 의원. 이런 인물이 당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비례대표 2번으로 국회에 입성한 이유는 그가 동료를 위해 살신성인하려 했던 ‘참군인’의 표상이라는 이유.
군에 따르면 2000년 6월 27일, 전방수색부대 대대장이었던 이종명 중령은 정찰 도중 지뢰를 밟은 후임 대대장을 구하려다가 자신도 지뢰를 밟는 사고를 당했다는 것이다. 군은 이종명 중령의 활약을 담은 ‘위험하니 내가 간다’라는 군가를 배포하고 뮤지컬을 제작하는 등 이종명 띄우기에 나섰고 이렇게 육군의 영웅이 된 이종명 대대장은 이후 새누리당 비례대표 의원까지 됐다.
그런데 사고 초기부터 군 내부에서는 이종명은 영웅이 아니라 징계대상이라는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이종명 중령이 국회의원까지 되자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말까지 끊임없이 흘러나왔다. 이 같은 주장의 핵심은 전시도 아닌 업무인수인계 과정에서 사고를 일으켜 전후임 대대장이 한꺼번에 부상을 입는 초유의 사고가 발생했는데도 이에 대한 제대로 된 조사와 책임 추궁이 없었다는 것.
게다가 당시 군의 사고 조사보고서를 보면, 이종명 대대장은 후임 대대장 등을 데리고 수색로를 이탈해 지뢰밭으로 들어가 규정을 어기면서까지 위험을 자초했다는 지적까지 군내에서 나오고 있다.
이종명 대대장은 과연 살신성인하려했던 영웅인가 아니면 만들어진 신화인가? 이종명이라는 영웅이 등장하면서 당시 갖가지 사고로 신뢰의 위기에 처했던 군은 과연 무엇을 얻었는지 스트레이트에서 취재했다.
국내에서 항일운동을 펼쳐 사후 건국훈장애족장을 받은 박원근 선생. 일제의 감시를 피해 다니던 박 선생은 어이없게도 꿈에 그리던 독립된 조국에서 죽음을 당했다.
바로 1950년 6.25 전쟁 발발 직후 보도연맹 사건으로 학살된 것. 박원근 선생의 학살에 관여한 실무자로 지목된 사람은 바로 충북보은경찰서의 친일경찰 김달용. 친일 경찰 행각에도 불구하고 해방 후 2계급 특진을 하는 등 오히려 승승장구했던 그는 심지어 해방 후 독립투사 박원근 선생의 학살에도 관여했다고 피해자들이 증언하고 있다.
김달용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 친일 경찰, 친일 군인 등은 처벌은 고사하고 이승만 정부에서 중용됐고, 이렇게 권력을 장악한 친일파들이
MBN스타 대중문화부 온라인이슈팀 mkculture@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