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산업연구원은 김태섭 박사를 주축으로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지난 6년간의 주택 공급과 수요 등 현황을 조사했다. 이 기간 서울 아파트 수요는 연 4만가구였는데, 투입된 아파트는 연 3만1000가구에 불과했다. 6년간 5만4000가구의 아파트가 부족했다. 반면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연 1만6000가구였던 다세대 등 비아파트 공급은 2012~2017년 4만4000가구로 폭증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이런 현상은 주택 공급에 대한 의존도가 컸던 정비사업이 확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5년간 서울시에서 총 354개 정비구역이 해제됐고, 이로 인해 다세대주택 공급은 급증했고 아파트 공급은 감소했다는 것이다. 서울 전체 주택의 50%가 지은 지 20년이 넘어 새 집 수요가 커졌는데, 아파트는 줄고 비아파트만 늘어나니 아파트 희소성만 높아졌다. 서울 아파트 가격 급등은 당연한 귀결이었다는 얘기다.
'양질의 주거' 공급을 늘리되 서울 집 부족은 경기도가 아닌 서울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 연구원 주장이다. 정부의 경기도 위주 택지 및 신도시 공급에 반대한 셈이다. 김 박사는 "서울에 살던 사람이 경기도 주택을 분양받아 이주하는 수요는 6.2%에 불과하지만, 경기도에서 서울의 신규 주택을 분양받아 오고 싶어하는 수요는 15%로 2.5배에 달한다"고 그 이유를 들었다. 정부 방식처럼 3기 신도시를 경기도에 만들기보다는 기존 서울 지역과 인접한 경기도 내 시를 연계해 '거대 광역 통합신도시'를 개발할 것을 제안했다. 서울 강남구와 서초구, 그리고 이들과 바로 붙어 있는 경기도 성남시와 과천시에 걸쳐 있는 그린벨트를 일부 풀고, 택지를 개발하는 식이다.
공급
[박인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