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육군 관계자는 4일 기자들과 만나 "비무장지대(DMZ) 군사분계선 남측지역과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북측 및 남측의 전체 지뢰지대는 여의도 면적의 40여 배에 달한다"며 "전방사단의 11개 공병대대를 모두 투입해도 지뢰 제거에 약 200년이 걸린다"고 말했다.
문제는 목함지뢰를 탐지하고 제거할 장비가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현재 개발 중인 지뢰 제거용 장애물개척전차는 빨라야 2020년에 전력화할 수 있다. 군이 보유한 지뢰탐지기도 1995년에 도입해 사용 연한(8년)이 넘었고 금속지뢰만 탐지할 수 있다. 목함지뢰 등 비금속지뢰는 땅속 5~10cm만 묻혀 있어도 탐지가 불가능하다.
이 관계자는 "공동유해발굴 등 판문점 선언에 명시된 DMZ 평화적 이용과 관련한 남북 공동사업의 본격화에 대비해 육군본부 내 '지뢰제거작전센터'(가칭)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육군이 구상하는 지뢰제거작전센터는 국방부와 연계해 지뢰 제거 관련 계획을 수립·조정·통제하면서 지뢰 제거 임무를 수행하는 전담조직을 의미한다.
이어 이 관계자는 "지뢰가 많이 매설된 캄보디아와 태국, 크로아티아 등에도 지뢰제거센터가 설치돼 있다"고 덧붙였다.
육군은 과거 경의선과 동해선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을 위해
육군의 다른 관계자는 "지뢰 제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무인 원격 지뢰 제거 체계를 도입하고, 드론을 활용한 신기술을 도입해야 한다"며 "개발 중인 장애물개척전차의 조기 전력화와 투입되는 건설장비의 방탄화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국 손지영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