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 표류하는 사이 일선에서는 돈을 갚지 않으려는 이른바 '배째라 족'만 늘고 있습니다.
강영희 기자입니다.
은행과 카드사 등의 채권추심을 대행하고 있는 한 신용정보회사입니다.
최근 인수위의 신용대사면 방침 발표 이후, 돈을 갚지 않으려는 사람들이 늘면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채권추심업자:
- "언제쯤 (빚 상환이) 가능한가?"
채무자
- "현재는 대안이 없다. 일단 거기서 하고 싶은 게 있으면 하고 싶은대로 해라."
실제로 돈 갚을 능력이 안되는 선의의 채무자도 있지만, 정부가 이자를 대폭 탕감해줄 것이라는 소식에 착실히 돈을 갚았던 사람들까지도 일단 기다려보자는 모습입니다.
인터뷰 : 신용정보회사 관계자
- "탕감이라든지 이런 정책들이 나오지 않을까 싶어서 좀 더 기다려보자는 추세가 많다. 통화해보면 잘 갚던 사람들도 조금씩 미뤄가면서 나중에 구제해주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이 신용정보회사의 경우 이달 들어 채권 회수율이 30% 정도 줄어들었고, 지정한 날짜에 돈을 갚는 약속이행률도 70~80%에서 50% 정도로 떨어졌습니다.
고객 대부분이 저신용자인 대부업체의 사정도 비슷합니다.
인터뷰 : 대부업체 관계자
- "고객들도 막연하게 대통령도 바뀌었고 새정부 들어서면 뭐든지 바뀔거다 돈을 안갚아도 된다 이런 막연한 개념으로 자기주장하는데 그게 괴리감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금융당국은 금융채무불이행자의 이자를 탕감해주는 방안과 저신용자의 대출금리를 낮춰주는 방안 등 2가지를 놓고 검토중입니다.
하지만 도덕적 해이와 실효성 등을 놓고 각종 논란이 일면서 구체적인 방안은 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김기진 / 신용정보협회장
- "정부 조치가 늦어지면서 이에 따라 약속한 것을 지키지 않으면 경제 자체가 돌아가지 않고 여러 나쁜 영향 받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정책이 확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강영희 / 기자
- "설익은 정책 발표로 일선 금융현장에서는 도덕적 해이만 확산되고 있습니다. 빚의 탕감보다는 재기를 돕는 쪽으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요구됩니다. mbn 뉴스 강영희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