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이정용 교수 |
유기 태양전지는 매우 가볍고 반투명하며 쉽게 휘어지는 성질로 차세대 웨어러블 전자소자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성능이 향상되면서 다양한 상업적 응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대면적에서 높은 성능을 유지하는 공정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 교수 연구팀은 자발적 순간 확산 현상인 ‘마랑고니 효과’를 이용해 빠른 시간 내에 대면적 고품질 유기 박막을 형성하는데 성공했다.
마랑고니 효과는 표면장력이 다른 두 용액이 접할 때 이 표면장력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일어나는 빠른 물질 수송 현상이다. 와인이 담긴 와인잔을 빙글빙글 돌리면 잔 표면에 물방울이 형성돼 흘러내리는 ‘와인의 눈물’도 마랑고니 효과로 인한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유기 물질이 녹아 들어간 용액을 물에 떨어뜨리면 그 순간 물 표면을 따라 빠르게 용액이 퍼지고 얇은 박막이 만들어진다. 이후 용액 속 용매는 공기 중과 물속으로 사라져버리고 대신 그 자리에 매우 얇고 균일한 유기 박막이 형성되는 원리다. 종이와 곡면 유리처럼 균일하게 박막을 형성하기 어려운 곳에도 균일하게 박막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수 초 이내 짧은 시간에 만들 수 있어 유기 박막 손상의 원인인 산소 흡착을 막아줄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로 대기 중에서 유기 태양전지를 제작했다. 산소 및 수분으로 인한 악조건을 극복하고 고효율의 전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 산소와 수분 조건을 극복했다는 점은 대량생산의 핵심 기술인 롤투롤(Roll 2 Roll) 공정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공정은 롤러를 이용해 알루미늄 호일같은 유연 기판에 연속 생산을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기술이다. 대량생산이 가능하기에 유기 태양전지의 상용화엔 필수적이다. 연구팀은 1m 길이의 단일 유기 박막을 형성한 후 롤투롤 시스템을 이용해 유연 기판에 옮기는데 성공했다. 연구성과는 1
이 교수는 “초고속으로 대면적 유기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유기태양 전지 상용화를 위한 완전히 새로운 공정”이라며 “저렴한 가격에 고효율 유기 태양전지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원천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영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