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각각 전분기 대비 0.7%, 전년동기 대비 3.2%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시장 전망치 0.5%, 2.8%를 웃돈 것이다.
다만 3분기 연속 0%대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고, 전세계적인 불확실성과 조선업 구조조정 등 대내외 위험요인이 산적해 하반기에도 이 같은 성장세가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는 것이 전문가 견해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올해 2분기 GDP는 전기대비 0.7% 성장했다. 1분기보다 0.2%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1분기 정부의 재정 조기집행이 경기 회복세를 이끌었다면, 이번에는 소비와 설비투자 등 내수 전반의 성장세가 나타난 것.
부문별로 살펴보면 민간소비가 내구재와 의류 등 준내구재 소비 증가로 0.9% 상승했다. 설비투자는 자동차 항공기 등 운송장비 중심으로,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 건설 위주로 각각 2.9% 성장했다. 그 결과 내수부문의 2분기 성장기여도는 전분기 -0.2%포인트에서 대폭 늘어난 1.1%포인트로 집계됐다. 수출은 전기대비 기분으로 1분기에 -1.1% 감소했지만 2분기 0.9% 상승했다. 불황형흑자는 벗어난 모양새다. 다만 수입이 1.9% 증가해 순수출 성장기여도는 -0.3%포인트에 그쳤다.
한은은 “2분기 0.7% 성장률은 연율로 치면 현재 3.0~3.2%로 추정되는 잠재성장률에 근접한 수준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실질 국민총소득(GDI)는 전기 대비 0.4% 감소해 2011년 1분기(-0.3%) 이후 5년 3개월만에 감소했다. 유가 상승에 따른 교역조건 악화와 1분기 3%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가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김영태 한은 경제통계국 국민계정부장은 “국제 유가가 두바이유 기준 전기 대비 39.9% 상승하는 등 교역조건이 악화돼 실질 GDI가 줄어들었다”며 “하지만 전년동기 대비로는 4.4% 성장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견실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두언 하나금융투자 선임연구원은 “임시공
[부장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