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화 속도와 표준화 완성도에 따라 미래성장동력 19개 분야를 분류한 것. <자료 제공=미래창조과학부> |
미래창조과학부는15일 제9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미래성장동력특별위원회(특위)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미래성장동력 표준화 추진 전략’과 ‘2016년 미래성장동력 종합실천계획 하반기 추진방향’을 논의했다.
미래성장동력 19대 분야를 △선제적 표준화 및 표준특허 창출 △전략적 협력·경쟁을 통한 표준특허 획득 △국내표준화를 통한 상용화 또는 틈새 표준화 추진 등 3개 영역으로 나누고 해당 분야의 특색에 맞는 표준특허 확보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R&D-표준-특허의 연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R&D 기획시부터 표준화와 표준특허 창출을 동시에 추진할 수 있도록 실태조사와 중기표준화 로드맵 작성을 확대한다. R&D-표준 연계과제 비율도 2020년까지 20%로 확대하고 특허청의 표준특허 창출지원 사업과 연계 확대하기로 했다.
ISO, IEC, ITU 등 공식표준화기구 내 표준화 주도권 확대를 위해 한중일 및 아태지역 주변국과의 국제표준협력도 강화한다. 기구 활동 간 균형적·전략적 대응을 위해 국제표준화 전문가 지원 등을 확대할 계획이다.
국제표준의 적시 상용화 등 시장확산을 위해 국가표준의 소관 부처로 이관을 확대하고 국가표준 운영체계도 일원화한다. 중소·중견기업의 R&D 기술이 표준특허 창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기획부터 후속관리까지 지원하고 시장 확대와 소비자 편의를 위해 국재표준 완료 또는 진행 중인 표준기술의 성능을 향상시킨 표준안 개발 등 틈새표준화도 추진된다.
특위는 미래성장동력에 대해 기반구축에서 성과획득으로 전환하고 각종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신성장동력 R&D 세액공제를 미래성장동력 등 신산업으로 개편하고 세액공제 규모를 확대한다. 신산업·신기술 정책자금(80조원) 지원을 위한 공동기준을 마련해 정책금융 공급을 늘린다. 화성에 자율주행 실험도시, 대구·부산에 IoT 실증단지, 고흥 등 5곳에 무
특위를 주재한 홍남기 미래부 1차관은 “미래성장동력 육성정책 측면에서 그 동안은 도움닫기를 한 기간이었다”며 “민간기업의 신산업 창출 활동을 뒷받침하는데 정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영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