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라는 말과 대비되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영철 상명대 금융경제학과 교수는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학력(학벌)’의 비경제적 효과 추정‘이라는 논문에 학벌이 좋을수록 자존감과 가정생활 등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를 15일 내놨다.
김 교수는 9997명을 상대로 ‘전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도’ 등을 설문한 한국노동패널조사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해 학력 수준에 따라 생활 만족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했다. 학력 수준은 대학별 입학생 평균 대입성적을 추정해 상위권대(10개), 중상위권대(30개), 중위권대(40개), 기타 4년제대, 전문대, 고졸, 중졸 이하로 나눴다.
분석 결과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 전반의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효응답자 9948명 중 자신의 생활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30.2%(3095명)였으며, 상위권대 출신 중에서 이 같이 답한 비율은 54.0%로 나타났다. 대졸자의 경우 중상위권대와 중위권대, 기타 4년제는 각각 46.4%, 42.4%, 46.2%로 대체로 비슷한 긍정 응답률을 보인 반면 전문대졸, 고졸, 중졸 이하는 각각 35.1%, 28.8%, 23.1%로 떨어졌다.
눈여겨 봐야 할 것은 월평균 소득과 종사하는 직업의 지위가 같다고 가정하고 분석했을 때도 결과가 비슷했다는 것이다.
소득 수준과 직업의 지위가 같은 경우, 전문대졸을 기준으로 중졸 이하는 11.9%포인트, 고졸은 6.2%포인트 낮은 삶의 만족도를 보였다. 반면 중상위권대와 상위권대 출신은 전문대졸 보다 각 10.6%포인트, 15.5%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에서 차별받는 경험이 적다는 사실도 나타났다.
유효응답자 7400명 중 ‘취업 시 차별 처우를 경험했다’고 답한 비율을 보면 중졸 이하는 23.0%, 고졸은 18.7%, 전문대졸은 19.1%였다. 반면 중상위권대, 상위권대 출신은 각 8.3%, 7.3% 만이 차별받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사회생활에서 차별대우를 받았다는 인식 역시 비슷했다. 유효 응답자 9315명 중 726명(7.8%)이 ‘사회생활에서 차별받은 적이 있다’고 답한 가운데, 중졸 이하와 고졸 출신은 각각 11.0%와 7.1%였지만 중상위권과 상위권 대학 출신은 각각 4.4%와 1.8%에 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김 교수는 “학벌 차가 소득 차로 이어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효과를 배제해도, 소득 외에 일자리의 질적 수준이나 결혼·가정생활, 자존감이나 차별의식 등 다양한 요소들이 학벌 효과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김 교수는 “과도한 고학력·학벌
이 논문은 오는 17일 서울대에서 열리는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에서 발표되고 ‘경제학연구’ 3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디지털뉴스국 김수민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