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6일 4차 핵실험을 전격적으로 실시한 것을 우리 정부는 물론 국제사회도 전혀 예측하지 못했다. 고성능 정찰 위성으로 북한 핵시설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미국도 이번 사전 징후를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소식통은 “지하에서 이뤄지는 핵실험은 준비가 완료되면 언제 단추를 누를지는 김정은만 알 수 있다”며 “북한이 마음만 먹으면 아무 때든 핵실험을 할 수 있다는 능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압박으로 핵실험을 포기한 사례에 비춰볼 때 이번에는 일단 핵실험을 하고 보자는 계산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에는 압박을 피하고자 징후를 최소화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인 이철우 의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보통 (핵실험의) 사전 징후가 있는데 없었다”며 “(핵실험 시설 주변에) 보초 같은 것을 서는 것도 없었고, 실험 전에 발표하는 것도 (이번에는)없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미국과 중국에 핵실험 사전 통보를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국회 정보위 관계자는 국정원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이 이전 3차 핵실험까지와는 달리 미국과 중국에 핵실험 계획을 사전에 통보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했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이미 (실험용 핵폭탄과 계측기기를) 장착을 해놓고 준비해 두었기 때문에 사전 징후가 없었다”며 “예전에 핵실험을 했던 2번 갱도에서 옆으로 굴을 더 파고들어갔고 단추를 누를 시간만 기다리고 있었다고 한다”고 전했다.
예전에는 북한은 주변국에 핵실험을 예고해왔다. 1차(2006년 10월) 때는 중국에만 미리 알려줬는데 불과 1시간 전에 통보했다. 2차 핵실험 때는 북한이 미국, 중국에 핵실험 수시간 전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2013년 북한이 3차 핵실험을 국제사회의 압박을 무시하고 강행했을 땐 하루 전에 통보했다.
북한은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으로 핵무기 운반과 조립, 각종 계측장비 설치와 같은 사전 준비를 했고 이는 한미 양국 군 당국에 포착됐다. 북한이 핵실험을 실시할 갱도 입구를 봉쇄하는 조치도 핵실험을 예고하는 중요한 징후로 파악됐다. 이 때문에 군 당국은 작년 9월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의 핵실험을 최소 한 달 전에는 예측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2013년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 직전에도 군 당국은 북한의 핵실험 준비 동향을 포착하고 여러 차례 경고메시지를 보내며 핵실험을 저지하려고 노력했다. 정승조 당시 합참의장은 “함북 길주군 풍계리에서 분주한 모습이 포착되고 있다”며 공개적으로 북한을 경고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핵실험 실시를 사전에 파악을 못해 “최소 한달 전 예측”은 허언이 돼버렸다. 군 관계자들은 이날 오전 외신에서 북한의 핵실험으로 추정되는 인공지진 관련 보도가 잇달아 나올 때도 “상황을 파악 중”이라는 반응만 보였다. 국방부가 위기조치반을 소집한 것도 인공지진의 규모와 진앙 등으로 미뤄 핵실험일 가능성이 크다
북한의 4차 핵실험에서는 이같은 사전 징후나 통보가 모두 사라졌다. 따라서 미국 국제사회의 감시망을 피해 핵실험 준비를 완료한 뒤 미국과 중국이 외교적 압박에 나설 가능성을 아예 차단한 채 전격적으로 핵실험에 나선 이유가 주목된다.
[안두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