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극적인 남북의 합의안을 실행한 후속조치 마련에 분주한 모습입니다.
현장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
이성식 기자! (네, 통일부에 나와있습니다.)
【 질문1 】
우리 정부는 북한이 유감 표명의 주체를 '북측'이라고 명시한 것이 19년 만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고요?
【 기자 】
회담에 참석했던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이 목함지뢰 도발에 대해 줄곧 부인했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북한이 유감 표명의 주체를 '북측'으로 명시한 것은 사실상 도발을 시인한 것과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주체를 북측이라고 명시한 것은 지난 1996년 강릉 잠수함침투 사건 이후 19년 만에 처음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회담 초기에는 지뢰 도발에 대한 사과가 중요한 쟁점이었지만 북한이 사실상 도발을 시인하면서 막바지에는 재발방지 방안을 놓고 진통을 겪은 것으로 전해지는데요.
당국자는 공동보도문에 확성기 방송과 관련해 '비정상적인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 한 확성기를 중단한다'는 조건을 넣어 실질적인 재발방지를 이끌어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우리 정부가 비정상적인 사태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확성기 방송을 재개할 수 있다는 의미라는 겁니다.
【 질문2 】
이번 고위급 접촉 합의안에 이산가족 상봉과 남북 당국회담 개최 등도 포함됐는데요.
통일부 움직임은 어떻습니까?
【 기자 】
남북은 합의안에서 당국회담을 서울 혹은 평양에서 이른 시일 내에 개최하기로 했는데요.
이와 관련해 통일부 당국자는 당국 회담을 정례화·체계화해 나가겠다는 의미로 이해해 달라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이산가족 상봉은 아주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별도로 합의문에 명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당국자는 추석까지는 시간이 한 달 정도밖에 남지 않아 다음 달 초에는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 회담이 열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과 함께 금강산 관광 재개도 요구했지만, 우리 정부는 두 문제를 연관시키지 말라며 선을 그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금까지 통일부에서 MBN뉴스 이성식입니다.
영상편집 : 이재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