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이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던 자원외교 실패사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3곳 정도가 꼽히는데요.
이곳에선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김태일 기자가 설명해 드립니다.
【 기자 】
먼저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으로 가보겠습니다.
석유공사는 지난 2009년 카자흐스탄의 석유광구 2곳을 보유한 '숨베'라는 회사를 약 3,600억 원에 인수합니다.
그러나 실제 숨베사의 자산가치는 2,340억 원 정도였는데요.
석유공사가 경제성 평가를 잘못해 1,200억 원 정도 비싸게 인수한 겁니다.
더욱 황당한 건 석유공사는 숨베의 하루 유전 생산량이 2만 배럴이라고 자랑했지만, 실제로는 절반도 안되는 8천 배럴에 불과했습니다.
다음은 남미에 위치한 페루로 가볼까요.
석유공사는 지난 2009년 하루 평균 1만여 배럴의 석유를 생산하는 해상유전, 사비아페루를 인수합니다.
당시 석유공사는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우리나라가 대규모 유전을 확보했다고 대대적으로 선전했습니다.
그러나 석유는 우리나라로 한 방울도 들여오지 못했습니다.
생산된 석유는 페루 정부가 가지고, 석유공사는 석유 생산 대가만 받는 계약을 맺은 겁니다.
결국, 석유 만들어 남 좋은일만 시켜준 꼴이 됐습니다.
마지막으로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인도네시아로 가봅니다.
광물자원공사는 지난 2011년 PGWC라는 회사를 통해 인도네시아 카푸아스 유연탄광 지분 39%를 인수하기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현재까지 23% 정도의 지분을 인수했는데 여기에는 인수비용 257억 원, 탐사비용 63억 원 등 모두 320억 원이 투입됐습니다.
그러나 PGWC는 유연탄광 개발을 위한 허가조차 받지 못했고, 탄광 개발도 지지부진해 광물자원공사는 다시 매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PGWC는 서류 상에만 존재하는 이른바 페이퍼 컴퍼니라 자산이 전혀 없었고, 담보 또한 없어서 매각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국민의 혈세 320억 원이 허공에 사라질 위기에 놓인 겁니다.
검찰이 자원외교와 관련해 고강도 수사에 나섰습니다.
과연 검찰의 칼끝이 어디까지 미칠지 주목됩니다.
MBN뉴스 김태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