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로 저축의 날을 맞았지만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세계 최저 수준에 머물고 있다.
같은날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순저축률(이하 가계저축률)은 4.5%로 2013년 3.4%보다 1.1%포인트 증가했다.
하지만 가계저축률은 1988년 24.7%로 정점을 찍은 뒤 하향 추세다.
1990년대에는 평균 16.1%를 기록했고, 4.8%로 떨어진 2001년부터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를 밑돌았다. 가계저축률이 5%를 넘은 것은 2001년 이후 2004년(8.4%)과 2005년(6.5%) 두 차례 뿐이다.
2011년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3.4%로 OECD 평균인 5.3%에 훨씬 못 미친다. 이는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 유럽 주요 국가(9~13%)는 물론 미국(4.2%)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이처럼 가계저축률이 떨어지는 구조적인 요인은 가처분소득 증가 둔화, 가계의 이자부담 증가, 저금리 기조 등 다양하다.
특히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둔화는 가계가 저축할 수 있는 여력이 감소한 주 요인으로 꼽힌다.
1990년대 10%대에 달했던 연평균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00년대 들어서 5% 전후로 하락했다. 물가 상승률을 감안하면 실질소득은 정체 상태에 빠진 셈이다.
유례없는 저금리 기조로 실질금리가 마이너스 수준까지 떨어지면서 저축에 대한 유인도 줄었다.
올해는 정기예금 금리가 연 2%대 초반까지 떨어졌다.
가계부채가 크게 늘면서 가계의 이자 부담으로 저축할 여력이 감소한 것도 원인이다. 2002년 465조원이었던 가계부채는 이미 1000조원을 돌파했다.
이처럼 가계저축률이 떨어지면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가계저축률 급락과 파급 영향' 보고서에서 "가계저축률이 1%포인트 하락할 때 투자는 0.25%포인트, 경제성장률은 0.19%포인트 각각 하락한다"고 예측한 바 있다.
하지만 저축률 제고에 앞장서야 할 정부와 은행은 저축 권장에 관심이 없는 모양새다.
정부는 올해 세법
시중은행 역시 지난해만 해도 저축의 날에 최고 연 3.4%의 우대금리를 주는 특판 예·적금을 출시했으나, 올해는 단 한 곳도 없는 실정이다.
[이현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