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유지하기 좋은 습도는 40~60%지만, 겨울에는 이보다 아래로 떨어지기 쉽다. 습도가 낮으면 눈, 코, 목의 점막이 건조해져 점액 분비가 감소하고, 이 때문에 바이러스나 노폐물의 침입에 노출되어 호흡기 질환에 쉽게 걸린다.
↑ (사진 프리픽)
습도 올라가면 감기 떨어진다
겨울에 주로 호흡기 질환이 발생하는 이유는 습도와 관련이 깊다. 특히 감기나 독감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습도가 낮을수록 생존력과 전파력이 높아진다. 미국질병예방통제센터는 습도가 23% 이하일 때 독감 바이러스의 감염력이 70~77%였으나, 습도를 43%로 올리자 감염력이 14%로 떨어졌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공기 중의 수분이 독감 바이러스 외피에 들러붙어 감염 기능을 무력화하고 무겁게 만들어 바닥에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또 습도가 낮으면 피부나 안구에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해 안구 건조증이나 피부 가려움증이 심해진다. 겨울철, 건조해지기 쉬운 실내의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는 손쉬운 방법들을 알아 보자.
간편하고 효과적인 일상 속 천연 가습기
실내 습도를 높이려면 가습기를 활용하는 것이 쉽고 빠르지만, 가습기는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하고 청소를 해 주지 않으면 기기에 세균이 번식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전기의 힘을 빌리지 않고 또 수고로움을 최소화하면서 생활 속에서 실내 습도를 조절하는 실천법이 여럿 있다.
먼저 실내에 화분을 들이면 식물이 증산 작용을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을 높인다. 실내 면적의 10%를 식물로 채우면 습도가 10% 증가한다고 한다. 잎이 넓은 식물일수록 효과가 좋으며, 행운목, 아레카 야자, 알로카시아, 스킨답서스, 스투키 등은 가습력도 좋고 공기 정화 기능도 뛰어나다.
↑ (사진 프리픽)
간편하게는 물을 담은 그릇을 곳곳에 배치하면 된다. 난방기 근처에 두면 물이 증발하는 속도가 빨라 단시간에 습도를 올릴 수 있다. 수건을 적셔 널거나 실내에서 빨래를 건조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샤워를 하고 난 뒤 욕실 문을 열어 두면 습기가 퍼지면서 실내 습도가 높아진다.
숯이나 솔방울도 효과적인 천연 가습기다. 깨끗이 씻은 솔방울을 물에 담갔다가 잎이 오므라들면 가습이 필요한 곳에 두자. 잎이 다시 벌어지면서 공기 중으로 수
분을 방출한다. 숯을 물이 담긴 쟁반에 넣어 두면 물을 머금어 공기 중으로 날려 보낸다. 다만 습도를 높이는 방법들에는 반드시 환기가 동반되어야 한다. 습도가 너무 높아지면 곰팡이와 세균이 증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글 송이령(프리랜서) 사진 프리픽]
[본 기사는 매일경제 Citylife 제959호(24.12.17)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