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울증. (위 기사와 무관한 사진입니다.) / 사진 = MBN |
우울증을 겪는 여성은 기억·학습 기능을 담당하는 뇌의 해마 부위에 타우린 농도가 낮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우울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과정에서 타우린의 역할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는 전망이 제기됩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은 바이오화학분석팀 송영규·조지현·정재준 박사가 '초고자장 7T 휴먼 자기공명 영상장치(MRI)'로 이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오늘(25일)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한국한의학연구원 김형준 박사, 충남대 손진훈 교수 연구팀과 함께 공동연구로 진행됐습니다.
연구진은 심리 검사 및 전문가 면접을 통해 19~29세 여성 76명을 우울증 질환자 실험군 36명과 일반인 대조군 40명으로 분류한 뒤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우울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대상인 20대 여성의 전두엽, 후두엽, 해마 부위에 존재하는 타우린을 포함한 콜린, 크레아틴, 글루타민, 글루타메이트, 마이오-이노시톨, N-아세틸 아스파테이트 등 7개 신경대사체의 농도를 각각 측정해 비교했습니다.
↑ 해마, 전두엽 및 후두엽에서의 타우린 농도. / 사진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
조사 결과 우울증 실험군과 일반인 대조군의 해마에서 측정된 타우린의 농도는 약 20%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우울증 실험군 측은 약 0.91mM였고, 일반인 실험군은 1.13mM이었습니다.
KBSI는 "기존 MRI(자기공명영상) 연구에서는 주로 뇌의 가장자리인 대뇌피질 영역에 국한돼 신경대사체의 변화를 밝히는 데 주력해 왔다"면서 "그러나 뇌 안쪽에 위치한 해마에서의 신경대사체와 우울증과의 연관성을 밝힌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조지현 박사는 "앞으로도 KBSI의 최첨단 연구장비를 활용해,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장
자세한 연구 결과는 생물 정신의학 분야 저명 학술지인
[김혜균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imcatfis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