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둔덕' 설치 문제로 논란이 된 무안국제공항과는 다르게 대구국제공항 착륙유도장치(로컬라이저)는 평지에 설치돼 안전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 31일 오전 대구국제공항 활주로 끝에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모습. / 사진=연합뉴스 |
오늘(31일) 한국공항공사 대구공항 등에 따르면 대구공항에는 로컬라이저가 세 곳에 설치됐습니다.
방위각 지시 장치라고도 불리는 로컬라이저는 항공기의 착륙을 돕는 시설로 활주로의 진입하는 방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대구공항의 경우 지면 위로 노출된 별도의 구조물 없이 평탄면 위에 이 시설이 설치돼 있고, 로컬라이저를 지지하는 시설물은 지면 아래에 묻혀 있습니다.
대구공항 관계자는 "집을 짓는 경우 땅을 파 기초작업을 한 뒤 그 위에 세운다"며 "장비(로컬라이저)도 마찬가지로 고정하기 위해 기초작업 후 나사 같은 걸 박아서 로컬라이저를 설치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여수공항, 청주공항, 포항공항의 로컬라이저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구성됐습니다.
반면, 항공기 참사가 발생한 무안공항의 경우 돌출된 콘크리트 구조물(둔덕) 위에 이 장비가 세워졌습니다.
국내외 항공 전문가 등은 이번 참사의 피해를 키운 원인 중 하나로 콘크리트 둔덕을 지목하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참사와 관련, 시설물 설치 규정 정비 필요성을 지적합니다.
박찬근 한국항공대
[조수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uyeonjomail@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