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가 급감하면서 육아휴직자가 처음으로 감소했습니다.
↑ 사진=연합뉴스 자료 |
통계청이 오늘(18일) 발표한 '2023년 육아휴직 통계'에 따르면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대상으로 지난해 육아휴직을 시작한 경우는 19만 5,986명으로 1년 전보다 3.0% 감소했습니다.
관련 통계가 제공된 2010년 이후로 육아휴직자가 감소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2010년 약 7만 3,000명 불과했던 육아휴직자는 2011년 9만 명, 2012년 10만 명, 2013년 11만 명, 2014년 12만 명, 2015년 13만 명, 2016년 14만 명, 2018년 15만 명, 2019년 16만 명, 2020년 17만 명을 각각 웃돌았습니다.
'3+3 육아휴직제'(부모 모두 육아휴직시 3개월간 휴직급여율 상향 등)가 시행된 2022년에는 15% 급증하면서 20만 명선을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0~8세 인구가 전년대비 6.5% 감소한데다가, 2022년 육아휴직이 급증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다"며 "육아휴직자는 줄었지만 육아휴직 비율은 계속 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육아휴직자 중 아빠는 5만 455명으로 전년보다 7.5%, 엄마 육아휴직자는 14만 5,531명으로 1.4% 줄었습니다.
육아휴직자 중 아빠의 비중은 25.7%로, 전년(27.0%)보다 낮아졌는데, 엄마의 비중은 74.3%로. 아빠의 3배 수준입니다.
연령대를 보면 아빠 육아휴직자가 엄마보다 높았습니다.
엄마 육아휴직자는 30대 초반(30∼34세)이 41.3%로 가장 많았고, 30대 후반(35∼39세)이 33.5%, 40세 이상 15.4%, 30세 미만 9.9% 순이었습니다.
아빠는 30대 후반(35∼39세)이 38.2%로 가장 많았고, 40대 이상도 35.7%에 달했습니다.
↑ 전체 육아휴직자 규모. / 사진=통계청 제공 |
기업체 규모별로는 대기업 육아휴직자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아빠 육아휴직자의 70.0%가 종사자 규모 300명 이상인 기업체에 근무했습니다. 이어 50∼299명(14.7%), 5∼49명(11.0%), 4명 이하(3.7%) 순이었습니다.
엄마 육아휴직자 역시 58.2%가 종사자 규모 300명 이상인 기업체 소속이었습니다. 이어 5∼49명(20.6%), 50∼299명(14.8%), 4명 이하(5.8%)인 기업체 순이었습니다.
지난해 태어난 아기의 부모 가운데 작
부모가 함께 육아휴직을 한 사람은 1만 3,336명으로 1년 전보다 2.1% 늘었습니다.
시도별로는 세종(37.0%)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강원(36.1%), 제주(35.3%) 순이었습니다.
[조수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uyeonjomail@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