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가 바뀌어도, 편향성 의혹은 여전합니다.
다음 주 현장 배포를 앞둔 새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논란, 교육부 출입하는 안병수 기자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질문 1 】
이번에 처음 검정을 통과한 교과서가 논란의 중심이라고요?
【 기자 】
앞서 보신 내용 말고도, 친일 인사들을 미화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는데요.
여느 교과서와 다르게, 친일 논란이 있는 서정주 시인을 두고 "그의 작품은 중요 유산"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또 서 시인을 포함한 친일 인사들을 언급하면서 '이들이 왜 친일 행위를 하게 됐는지 생각해보자'는 질문을 던지기도 합니다.
【 질문 1-1 】
책을 쓴 사람들의 이력을 두고도 부적절하다는 말이 나온다고요?
【 기자 】
더불어민주당 김준혁 의원실과 함께 집필진 명단을 입수해서 살펴봤는데요.
한 집필자는 과거 발표한 논문에서 '식민지 근대화론'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던 것이 확인됐습니다.
또 다른 집필자도 자신의 SNS에 "일본을 통해 배워야한다"고 언급했습니다.
▶ 인터뷰 : 김준혁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친일 식민지 근대화론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이를 통해서 친일청산을 못 하게 하고, 여기에 대해서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의도…."
【 질문 2 】
학계에서는 의견이 분분하다고요?
【 기자 】
보수와 진보 학계에서 온도차가 큰데요.
보수 학자들은 좌편향의 정상화, 진보 학자들은 퇴행적 역사 서술이라는 촌평을 내놨습니다.
차례로 들어보시겠습니다.
▶ 인터뷰(☎) : 류석춘 / 전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 "정상화로 가는 어떤 첫 단계라 그럴까요? (북한 관련 서술도) 사람 목숨까지 뺏기면서 화해, 협력 강조하는 건 말이 안 되는 것 같네요."
▶ 인터뷰(☎) : 반병률 / 한국외대 사학과 명예교수
- "퇴행적인 거고 거꾸로 가는 거고 그렇죠. 국가가 이제 이런 사람의 정신 부분에 대해서 간섭을 하고, 개입을 하겠다는 거잖아요."
【 질문 3 】
검정 결과가 나올 때마다 논란을 피해갈 수 없는걸까요?
【 기자 】
구조적 문제인데요.
교과서는 민간에서 만드는데, 정부 가이드라인에 맞춰 검정 심사를 통과해야 교과서 지위가 주어집니다.
정부 입김이 작용했냐를 두고 잡음이 나올 수밖에 없겠죠.
이 때문에 학계에서는 정부 독립 기관이나 출판사에서 자체적으로 검증을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 앵커멘트 】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 ahn.byungsoo@mbn.co.kr]
영상편집 : 송현주
그래픽 : 최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