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와 공해 대책 마련·재해 방재 등 홍보 내용만 담겨
↑ 아시오 광산 사진 [사진=일본관광청 홈페이지] |
일본 정부가 사도 광산에 이어 아시오 광산과 구로베 댐의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를 추진하면서 이들 장소에서 이뤄진 조선인 강제 노역도 명시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오늘(24일) 제기됐습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이 국가유산청에서 받은 '일제강점기 강제 노역 시설 유네스코 등재 추진 현황'에 따르면 아시오 광산과 구로베 댐의 등재 제안서에 조선인 강제 노역 문제가 거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두 곳은 세계 유산 등재를 위한 초기 단계인 '세계 유산 잠정 일람표 후보 자산'에 포함돼 있습니다.
세계 유산 잠정 일람표란 각국이 자국의 유산을 유네스코에 등록하기 위해 올리는 목록으로, 이 목록에 있는 유산은 유네스코의 심사를 거치면 정식 세계 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습니다.
아시오 광산은 특히 2014년부터 일본의 유네스코 등재 후보로 거론되어 왔으며, 일본 경제산업성도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이로 인해 군함도와 사도 광산에 이어 다음 후보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등재 제안서에는 아시오 광산이 공해 문제가 심각해 관련 대책을 논의하고 개발하는 시발점이 된 산업화 시설이라는 점과 구로베 댐이 재해 방재 시설이 있는 거대한 수자원 발전 시설이라는 점 등 긍정적인 부분만을 명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일제 강점기에 아시오 광산에 동원된 조선인 2,416명 중에 40명이 사망했고, 구로베 댐의 건설에도 1천 명 이상의 조선인이 동원된 것으로 일본 후생성의 '조선인 노무자에 관한 조사 결과'에 기록돼 있지만, 제안서에는 이를 적지 않은 것입니다.
↑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 [사진=박수현 의원실] |
이 가운데 아시오 광산과 구로베 댐이 세계 유산 잠정일람표 후보 자산에 등재된 시점이 지난 2008년 9월인 것을 뒤늦게 파악한 국가유산청은 최근 국회의 지적이 있고 나서야 내년 1월부터 대응 연구용역을 추진하겠다는
박 의원은 "불과 얼마 전 사도 광산 유네스코 등재 문제로 공분이 일었는데 일본이 조선인 강제 노역 부분을 삭제한 채 '제2의 사도 광산' 등재를 추진하는데도 정부가 제대로 대응하지 않았다"며 "범정부 차원의 대응 전담 부서 신설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김문영 기자 kim.moonyoung@mb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