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미국이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 북한에 대한 금융제재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이 해외에서 운용하고 있는 불법 자금이 주된 제재 대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윤범기 기자입니다.
【 기자 】
미국이 천안함 사건의 책임을 물어 대북 금융제재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필립 크롤리 미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교도통신 인터뷰에서 "이전에 북한을 압박하기 위해 금융제재 조치를 취한 적이 있다"면서 "지금도 북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미국이 북한의 해외 자산을 동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미 재무부가 이미 제재 대상을 광범위하게 검토했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응을 지켜본 뒤 금융제재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미국이 금융제재 카드를 다시 꺼낸 데는 2005년의 경험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당시 미국은 북한 계좌가 있던 마카오의 방코델타아시아를 '돈세탁 우려 대상'으로 지정하는 것만으로도 북한의 입지를 크게 위축시켰습니다.
때문에 금융제재에 취약한 북한은 미국의 구상이 현실화된다면 강력히 반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북한 최태복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는 천안함 사건은 한국과 미국의 '조작'이라며 대북제재에 "무자비한 타격"으로 보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미국은 한국전쟁 60주년을 맞아 상하 양원의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습니다.
특히 미 의회는 결의안에서 천안함 사건을 계기로 한반도 안정을 지키기 위한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돈줄과 외교적 명분으로 북한을 압박하는 미국의 공세가 한반도 정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MBN뉴스 윤범기입니다.
[MBN리치 전문가방송 - 순도100% 황금종목 발굴]
< Copyright ⓒ mbn(mb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