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트럼프, 하마스에 경고…"취임까지 인질 석방 안 하면 지옥 문 열려"
팔레스타인 주민 4만 6천 명 이상 사망…이스라엘 인질 94명 억류
↑ 하마스에 억류된 인질들의 석방을 촉구하는 팻말 [사진=AP]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무장 정파 하마스 간의 휴전 협상 타결이 임박하면서 첫 단추로 하마스가 억류 중인 이스라엘의 인질 일부를 석방하는 방안이 거론됩니다.
현지 시각 13일 AP통신, CNN 등에 따르면 이스라엘과 하마스 측은 카타르 도하에서 진행 중인 휴전 협상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단계적인 휴전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CNN은 첫 단계에서 42일간 일시 휴전하는 대신 하마스가 33명의 인질을 석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복수의 이스라엘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33명의 석방이 이뤄지는 것으로 첫 단계 휴전이 이뤄지고, 휴전 16일째부터는 종전을 위한 2단계 협상이 시작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며 석방되는 인질은 대부분 생존자일 것으로 보이지만 사망자의 유해가 일부 포함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 지난해 12월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구호 트럭을 확보하다가 사망한 팔레스타인인 7명의 장례식 [사진=로이터] |
현지 시각으로 오는 14일에는 카타르의 중재를 통해 휴전안의 세부 내용 조율을 위한 '근거리 협상'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같은 날 몇몇 인질의 가족들을 불러 면담할 계획입니다.
이르면 금명간 양측이 합의를 도출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조심스럽게 흘러나옵니다.
한 이스라엘 고위 당국자는 "몇 시간이 걸릴지, 며칠이 걸릴지 장담하기는 어렵지만 조만간 합의가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협상 중재에 관여하는 미국 측 관계자도 "어느 때보다도 합의에 근접한 것이 사실이지만, 무산될 가능성도 여전히 있다"고 전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무장 정파 하마스를 겨냥해 "취임(현지 시각 오는 20일)까지 억류 중인 인질들을 석방하지 않으면 지옥의 문이 열릴 것"이라며 대가를 치를 것이라 경고한 바 있습니다.
↑ 폐허가 된 가자지구 [사진=연합] |
다만, 하마스의 태도는 상대적으로 유보적입니다.
익명의 하마스 관계자는 이스라엘의 종전 의지, 이스라엘군의 철수와 인질 석방의 대가로 송환할 팔레스타인인 구금자 등 세부 사항과 관련해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합의점을 찾기 쉽지 않은 쟁점들이 존재합니다.
현재 협상안에는 이스라엘군이 첫 단계 휴전 기간 가자지구와 이집트 사이 경계 지대의 '필라델피 회랑'에 계속 주둔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필라델피 회랑 주둔 문제는 지난해 9월 협상을 막판에 무산시킨 쟁점이었습니다.
↑ 가자지구의 난민 거주지 [사진=로이터] |
이스라엘과 가자지구 사이 경계선을 따라 만들어질 완충지대의 폭을 두고도 양측의 의견이 갈립니다. 하마스 측은 전쟁 발발 이전인 300∼500m를 선호하는 반면, 이스라엘은 2㎞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북부 주민들이 거주지로 돌아갈 때 '보안 조치'가 마련돼야 하고, 이스라엘인을 살해한 혐의를 받는 팔레스타인 수감자들은 요르단강 서안이 아닌 가자지구나 제3국으로 송환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내부의 정치적 상황도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휴전 논의 자체에 반대하는 극우 성향 정치인들의 반발이 심해질 경우 네타냐후 연립 정부의 기반이 흔들릴 수도 있습니다.
↑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자료 영상 캡쳐 [사진=로이터] |
이스라엘 의회의 강경파 의원 10명은 네타냐후 총리에게 서한을 보내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전략적 요충지 주둔을 막는 휴전안에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의 내부 상황과 관련해 AP통신은 네타냐후 총리는 가자지구 전쟁 종식을 원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측이 내각 내 강경파들을 설득할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가자지구 전쟁은 2023년 10월 7일 하마스가 이스라엘 남부를 기습 공격해 약 1천20
하마스 당국은 전쟁 기간 팔레스타인 주민 4만 6천 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했습니다.
이스라엘 당국은 현재 94명의 인질이 여전히 가자지구에 억류돼 있으며, 이 중에 34명이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 김문영 기자 kim.moonyoung@mb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