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단둥에서 바라본 북한 / 사진=연합뉴스 |
중국 지린성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 수천 명이 지난달 연쇄 파업과 폭동을 일으킨 데 이어 이달 단둥에서도 북한 노동자의 추가 소요 사태가 발생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어제(28일) 자신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대동강TV'를 통해 "이달 중순 단둥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 수십 명이 고향으로 보내달라는 조건을 내걸고 출근을 거부하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조 위원은 "소요가 발생한 즉시 북한 영사가 파견돼 수습 중이지만 난항"이라며 "노동자들이 '죽더라도 집에 가서 죽겠다'는 완강한 입장을 보인다고 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중국의 북한 노동자들은 최대 7년간 장기 체류 중이라며 이들이 신체적·정신적 한계 상황에 처해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국가정보원은 조 위원의 주장이 사실인지를 묻자 오늘(29일) "북한 노동자들의 열악한 생활 여건으로 말미암아 다양한 사건·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관련 사안을 주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북한 국방성 산하 무역회사가 파견한 노동자 약 2천 명이 지난달 11∼14일 중국 지린성 허룽(
조 위원은 이 사안에 대해선 "중국에 있는 북한 보위부 다수가 (현지에) 파견돼 사건을 조사하고 폭동 주동자 색출이 이뤄졌다"며 "그 결과 이달 중순 100명이 강제 북송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윤도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oloopp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