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성행위 중 입맞춤하는 남녀를 묘사한 바빌론 점토판/사진=연합뉴스 |
덴마크와 영국 연구자들이 기원 전 약 2천500년 전 메소포타미아 점토판에서 성행위적 입맞춤에 대한 기록을 찾았습니다.
적어도 4천500년 전부터 사람이 성적인 애정 표현을 위해 키스를 했다는 의미입니다.
어제(18일)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 등 연구진은 당시 사람들이 점토판에 설형문자로 새긴 고대 기록물을 분석해 얻은 결론을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습니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인간의 입맞춤은 두 종류로, 친지나 가족 간의 친밀감을 나타내는 표시로서의 입맞춤은 시대와 지역에 관계없이 널리 이뤄져 왔습니다.
하지만 남녀 간의 성행위적 입맞춤은 모든 문화에서 나타나는 보편성을 갖지 못하고 계층화한 복잡한 사회에서 더 발달한 것으로 제시돼 있습니다.
이라크와 시리아 일대인 유프라테스와 티그리스강 사이에서 번성했던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남긴 수천 개의 점토판 중에는 입맞춤이 가족, 친지 간에 이뤄지기도 하지만 남녀 간 성행위의 일부로 간주됐다는 점도 분명하게 묘사돼 있다고 연구팀은 전했습니다.
이런 점을 근거로 "입맞춤은 특정 지역에서 시작돼 다른 곳으로 확산한 관습으로 간주해서는 안 되며, 수천 년에 걸쳐 여러 고대 문명에서 있어온 것으로 보인다"고 했습니다.
입을 맞추는 키스는 전염병이 퍼지는 매개체가 되기도 했습니다.
연구팀은 "키스는 다양한 지역과 문화에 걸쳐 보편적으로 행해졌다"라며 "이 과정에서 키스는 헤르페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1형'(HSV-1) 등 감염병을 퍼뜨리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낳기도 했다"라고 밝혔습니다.
[김가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imke399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