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북한이 전술핵탄두를 공개해도 외교적 해법을 통한 한반도 비핵화 정책 방향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대화에 참여하지 않는 상황에서 "군사역량을 갖출 것"이라며 "연합훈련이 준비태세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워싱턴에서 최중락 특파원입니다.
【 기자 】
미 백악관은 최근 북한이 전술핵탄두를 공개하며 핵무기 개발 의지를 드러냈지만, "외교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 달성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 인터뷰 : 존 커비 / 미 백악관 전략소통조정관
- "한반도의 검증 가능한 비핵화를 달성할 외교적 방법을 찾고자 북한 정권과 조건 없는 대화를 하겠다는 우리의 바람은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
하지만,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에도 북한이 해결 의지를 보여주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따라서, 이런 상황에서 미국과 동맹인 한국과 일본의 안보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군사 역량을 갖출 수 밖에 없다며, 한미 연합훈련의 필요성을 설명했습니다.
▶ 인터뷰 : 존 커비 / 미 백악관 전략소통조정관
- "동맹인 한국과 일본의 국가 안보 이익을 보호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군사 역량과 태세를 갖추려고 할 수밖에 없으며, 규모 연합훈련이 준비 태세에 도움될 것입니다."
이어, "미국은 북한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상황을 더 잘 인지하기 위해 더 많은 정보역량을 투입했다"고 말했습니다.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도 상원 군사위에 서면으로 제출한 성명에서 "북한의 어떤 도발에도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계속해서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스틴 장관은 "미국 핵 억제력은 동맹국에 대한 전략적 공격을 억제하기 위한 궁극적인 안전장치"라며 "3대 핵전력을 유지하는데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스탠딩 : 최중락 / 특파원 (워싱턴 )
- "이런 가운데, 북한 정보요원이 미국 언론인으로 위장해 미 정부와 동맹국의 핵 안보 정책 수집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정보 보호 경계령도 커졌습니다. 워싱턴에서 MBN뉴스 최중락입니다."
영상촬영 : 김현수 / 워싱턴
영상편집 : 송지영
#북한 전술핵 공개 #외교적 해법 지속 #군사역량 강화 #한미연합훈련 #3대 핵전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