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신생아 수명은 태어나 자란 곳 따라간다"/사진=연합뉴스 |
부유한 지역에서 태어나면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 태어난 것보다 10년 이상 오래 산다는 영국의 연구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어제(20일) 더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29개 보건 싱크탱크 연합체인 '헬스이퀄스'(Health Equals)는 통계당국 자료를 토대로 영국 650개 선거구의 기대수명을 분석했습니다.
기대수명은 당장 태어나는 아기가 살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기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당 지역의 보건·복지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분석 결과, 부촌과 빈촌 간의 기대수명 격차가 뚜렷하게 드러났습니다. 기대수명이 가장 높게 나온 선거구 20개 중 15개가 부촌의 비율이 높은 런던과 영국 남동부에 있었습니다. 반면 기대수명이 가장 낮은 20개 선거구 중 17개가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등 빈곤한 지역에 위치했습니다.
런던의 부자동네인 햄프스테드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88세까지 살 것으로 예측된 반면, 상대적으로 가난한 지역인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출생할 경우 그보다 12년이나 이른 76세에 사망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특히 양극단에 위치한 부촌과 빈촌의 기대수명 격차는 최근 20년 사이에 2년 더 늘어났습니다.
더타임스는 이번 결과를 두고 "지역 간 충격적 격차"라고 말하며 "부실한 주거, 기대 미만의 교육, 빈곤 때문에 수백만명의 수명이 10년이나 단축된다"고 분석했습니다.
헬스이퀄스는 아기가 태어나서 자라는 곳이 개인적 행동이나 유전 요인보다 미래의 건강에 더 많이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이러한 부촌과 빈촌 간의 기대수명 격차는 무상의료
헬스이퀄스는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주택가에 녹지를 만들고 교통을 확충해 상태가 양호한 주택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당국에 정책적인 지원을 촉구했습니다.
[김가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imke399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