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 사진=연합뉴스 |
미국의 소비자 물가가 지난달에도 예상을 뛰어넘어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심각한 인플레이션 상황이 재확인됨에 따라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공격적인 금리인상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미 노동부는 현지시간 13일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8.2%, 전월보다 0.4% 각각 올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전년 동월 대비 8.1%, 전월 대비 0.3%)를 각각 소폭 상회한 것입니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석 달 연속 둔화했으나, 8월 8.3%에서 9월 8.2%로 0.1%포인트 감소하는 등 둔화 속도는 느린 편입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6.6%, 전월보다 0.6% 각각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근원 CPI는 8월(6.3%)보다 오히려 상승폭을 더 키워 1982년 8월 이후 40년 만의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다고 노동부는 밝혔습니다.
전월 대비 근원 CPI 상승률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0.4%)를 상당 정도 상회했습니다.
국제유가 하락세로 휘발유 가격이 전월보다 4.9% 내려가는 등 에너지 가격지수가 2.1%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식료품(0.8%)과 주거비용(0.7%) 등이 가파른 오름세를 이어가면서 전체 물가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켰습니다.
에너지 부문에서도 천연가스(2.9%)와 전기료(0.4%)는 전월보다 올랐고, 식료품과 주거비용은 전년 동월과 비교해 각각 11.2%, 6.6%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미 연준이 다음달 또다시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은 더욱 커졌습니다.
3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한 연준이 향후 경기침체 우려 등을 의식해 약간의 속도조절을 검토해야 한다는 견해도 일각에서 나왔으나, 이날 CPI 발표로 이러한 소수 의견은 큰 힘을 얻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연준이 전체 CPI보다 더 정확한 물가지표로 간주하는 근원 CPI의 상승세가 더 가팔라졌다는 사실로 인해 연준이 내달 4연속 자이언트 스텝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을 더욱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연준의 통화정책에서 변수가 될 수 있는 고용지표도 여전히 탄탄한 편입니다.
이날 노동부가 별도로 발표한 지난주(10월 2∼8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전주보다 9천 건 증가한 22만8천 건으로 집계됐습니다.
8월 말 이후 최대치로 시장 전망
다만 연속적인 금리인상과 글로벌 경기둔화의 여파로 채용을 줄이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실업자가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 서영수 기자 engmath@mb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