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서 사망한 의원 이름 호명
![]() |
↑ 백악관 기아 관련 행사서 발언중인 바이든 대통령 / 사진=연합뉴스 |
최근 진행된 행사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실언으로 앞서 논란됐던 그의 '건강 이상설'이 다시금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이미 사망해, 자신의 명의로 애도문까지 발표한 적 있는 연방 하원의원의 이름을 행사에서 호명하며 찾았기 때문입니다.
현지 시각 28일, 이날 오전에 개최된 기아·영양·보건 관련 회의에서 해당 정책에 대한 초당적 지원을 거론하면서 “마이크 브라운 상원의원, 코리 부커 상원의원, 재키 왈러스키 하원의원 등을 비롯해 여기 있는 모든 사람에게 고맙다고 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는 왈러스키 하원의원의 이름을 거듭 부르며 청중을 향해 "재키, 여기 있나요. 재키 어디 있나요"라고 물었습니다.
왈러스키 의원은 지난달 초에 교통사고로 사망한 공화당 소속 의원으로 바이든 대통령 내외는 그의 사망 당시 애도 성명을 발표하고 조기 게양도 지시한 바 있습니다.
이와 같은 그의 행동은 고령에 의한 건강 이상 우려로 이어졌습니다.
사건 이후 오후 진행된 백악관 브리핑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의 해당 발언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습니다.
한 기자는 "대통령이 오늘 기아 관련 행사에서 지난달 사망한 의원을 찾으면서 돌아보는 것처럼 보이던데 대통령은 그녀가 거기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처럼 행동했다"면서 그 이유를 물었습니다.
카린 장-피에르 대변인은 이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이 당시 이 사안을 챙겨온 의원들을 거론하고 있었다는 점을 상기시킨 뒤 "그녀를 기리는 법안 서명 행사가 이번 금요일에 있을 예정이고 대통령은 그녀 가족도 만날 예정이기 때문에 그녀가 (발언 당시) 대통령의 마음 가장 위에 있었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에 다른 기자는 "그렇다면 왜 대통령이 행사장에서 그녀를 찾았느냐"고 다시 묻자 장-피에르 대변인은 "미국 국민은 누군가가 머릿속에 있을 때 (이런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으로 본다"고 답변을 피했습니다.
또 다른 기자가 "내 머릿속에는 존 레논이 가장 위에 있지만 난 존 레논을 주변에서 찾지 않는다"며 재차 추궁하자 "당신이 대통령으로서 존 레논을 위한 법안에 서명할 때 다시 얘기하자"며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1942년생으로 고령인 바이든 대통령은 실수가 있을 때마다 '건강 이상설'에 휩싸이고 있습니다.
앞서 지난 4월 40여 분간의 연설을 마친 직후에는 허공을 향해 혼자 손을 내밀고 악수하는 듯한 장면이 카메라에 담겼기 때문입니다.
해당 장면이 담긴 영상에서는 연설을 마친 뒤 바이든 대통령은 피곤한 듯한 표정을 지으며 오른쪽을 향해 악수를 제안하듯 손을 내밀었으나 그 자리에는 아무도 없었습니다.
이 모습은 마치 자신이 단상 위에 혼자 있었다는 것을 인지하진 못한 모습으로 보였습니다.
이어 관객들의 박수가 이어지는 가운데 무대 위에서 주변을 두리번거리며 한참 동안 서성이는 모습이었습니다.
![]() |
↑ 논란된 바이든 허공 악수 / 사진=연합뉴스 |
[정서윤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eoyun0053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