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군사작전 명령으로 촉발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간 전쟁이 벌써 5개월째 진행형이다. 예상보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우크라이나 경제는 무너지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대표적인 국영 가스기업인 나프토가스는 지난 26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3억3500만달러(약 4400억원) 규모의 채권 상환이 불가능해졌다며 채무 불이행(디폴트)를 선언했다. 나프토가스는 해외 채권자들에게 2년간의 상환 유예를 요청했으나 수용되지 않았다. 전쟁 5개월 만에 국영기업의 재무구조부터 송두리째 흔들리기 시작한 셈이다.
한국의 도로공사 격인 우크라우토도르, 한국전력 격인 우크레네르호 등 국영기업들도 디폴트 위기에 내몰린 상태다.
찬물을 한번 더 끼얹은 것은 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다.
S&P는 무디스, 피치 등과 함께 세계 3대 신용평가사로 꼽힌다. S&P는 우크라이나의 국가 신용등급을 29일(현지시간) 강등했다.
S&P는 성명을 내고 우크라이나의 장기신용등급을 CCC+에서 CC로 세 단계 내린다고 밝혔다. 투자부적격 등급이긴 마찬가지지만 '국가부도' 가능성이 훨씬 커졌다는 뜻이 된다.
S&P의 장기신용등급은 최고 등급인 AAA부터 최하인 D까지 22단계가 있는데, CC는 밑에서 세번째에 해당된다. 회복 가능성이 거의 없는 채무 불이행 상태라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유로본드 상환과 이자 지급을 8월부터 2년간 연기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당장 전쟁에 투입할 예산이 바닥을 드러내는 상황에서 채무 상환을 미룰 수밖에 없다는 절박감이지만 해외 채권자와 신용평가기관들은 냉담한 반응인 셈이다. 우크라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일본 등 6개국은 우크라이나 국채의 채무 상환을 유예하기 했지만 민간 분야의 채권자들이 얼마나 응할지는 미지수다.
[신헌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