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당이 장악한 일부 주, 원정낙태 막는 입법 추진
구글 "내주부터 이용자가 낙태 관련 기관 방문…위치 기록 삭제"
![]() |
↑ 미국 텍사스주에서 열린 낙태권 옹호 시위. / 사진=로이터 |
미국 연방 대법원이 반세기가량 인정됐던 낙태 권리를 공식 폐기한 가운데, 성폭행을 당한 10살 소녀가 낙태 수술을 받지 못한 사연이 공개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어제 CNN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미국 인디애나주 주도 인디애나폴리스의 산부인과 의사인 케이틀린 버나드는 오하이오주의 동료 의사에게서 낙태 수술을 도와달라는 전화를 받았습니다. 해당 의사는 성폭행으로 임신한 10살 소녀 환자를 데리고 있었는데, 낙태 수술을 준비하던 중 대법원의 낙태 폐기 결정이 나왔습니다.
오하이오주는 태아의 심장 박동이 감지되면 낙태를 금지하는 법을 채택한 상태였습니다. 오하이오 주정부는 대법원 판결이 나오자마자 낙태 금지도 선언했습니다. 이 때문에 성폭행 피해 소녀는 급히 인디애나주까지 옮겨가 수술을 받아야 했습니다.
조시 스타인 노스캐롤라이나 법무장관은 "오하이오주는 10살 강간 피해자가 임신 6주 3일이라는 이유로 낙태를 거부했다"며 "미친 짓"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
↑ 미 대법원 앞 언쟁하는 낙태 찬반 시위대. / 사진=연합뉴스 |
크리스티 노엠 사우스타코타 주지사는 이날 CNN 인터뷰에서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끔찍한 사건"이라면서도 "사우스다코타주에서는 근친상간이나 강간과 관련된 경우가 아닌 예외를 제외하고는 낙태가 불법"이라며 낙태금지를 옹호했습니다.
노엠 주지사는 "비극적인 상황이 또 다른 비극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며 '트리거(방아쇠) 조항'을 수정하는 것도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루이지애나·켄터키·사우스다코타주에서는 트리거 조항에 따라 연방대법원이 판결을 내놓은 직후 자동으로 낙태가 불법화되었습니다.
노엠 주지사는 "모든 주마다 다른 법률이 있을 것"이라며 "결정은 국민과 가장 가까운 의원이 리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것이 우리 헌법이 의도한 방식"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
↑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민주당 소속 주지사들과 낙태권 보호를 위해 화상회의를 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일 연방대법원의 낙태권 폐지 판결을 거듭 규탄하며 "일부 극단 성향의 주지사들은 낙태 시술을 위해 다른 주로 가려는 여성을 체포하려고 하는데, 만약 그런 일이 벌어지면 사람들은 충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연방 정부가 이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약속했습니다.
낙태를 금지하는 주에 살고 있는 여성이 낙태를 허용하는 주로 가서 원정 시술을 받으려고 할 때 법적 처벌을 받지 않도록 연방 정부가 보호해주겠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공화당이 장악한 일부 주는 원정낙태를 막는 입법까지 추진하고 있습니다. 워싱턴포스트(WP)는 공화당 일부 주가 원정 낙태에 도움을 준 사람을 상대로 민사 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구상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
![]() |
↑ 지난 24일 낙태권을 폐지한 미국 연방 대법원 앞에 모인 군중./ 사진=연합뉴스 |
구글은 내주부터 이용자가 낙태 관련 기관을 방문하면 위치 기록을 삭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구글은 낙태 클리닉뿐만 아니라 가정폭력 보호소, 불임 센터, 중독
젠 피츠패트릭 구글 수석 부사장은 "우리 시스템이 누군가 이런 시설 중 하나를 방문했다고 파악한다면 우리는 그가 시설을 방문한 직후 기록에서 그 항목을 지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안유정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bwjd5550@naver.com]